커뮤니티/묻고 답하기
Re: 아직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카즈앤미
2000. 4. 14. 22:32
안녕하세요.
보내주신 메일도 받아 보았습니다만,
정확히 원인을 파악하기가 힘들어 답변을 미루고 있었습니다.
- 먼저, 열간장애일 경우, 한 여름에만 나온다고 보시면 틀림이 없습니다.
따라서 1000 rpm 부근에서 시동꺼짐이 봄에도 발생했다면, 또 온도와
관계없이 오전이나 저녁에도 발생하면 열간장애라고 볼수 없습니다.
(답변 주세요)
- 밑에 스쿠프의 열간장애 대책은 여름에만 적용하시고 그외 계절에
원래대로 하고 다니셔도 �I찮습니다.
- 먼저, 제가 에스페로의 엔진 콘트롤러 쪽 정보는 없어서, ECU의 배선도를
보니까, 엔진제어에 필요한 엔진회전수를 디스트리뷰터내에 내장된 센서를
사용하는것 같더군요.
- 일단 저속주행시 시동이 꺼질만한 요인은 카센터 분 말마따나, 아이들서보
모터나, 서보모터내의 카본이 충분한 원인은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교환/청소를 하셨는데도 계속 발생하면 그 쪽이라고 볼수 없죠.(당연^^)
- 또 연료펌프 불량이라고 해서 교환하셨다고 했는데, 연료펌프의 불량이라면,
시동성 문제도 있었을 테 지만, 간헐적으로 증상이 발생했었다면,
연료펌프 자체 보다는 연료펌프로 이어지는 전기배선의 문제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일단 제가 지금 조언해 드릴수 있는것은
1. 디스트리뷰터 : 디스트리뷰터 안이 오염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오염되어 있으면 청소! 디스트리뷰터 안에 있는 센서 점검.
엔진회전수 센서가 열받으면 출력이 안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한번 신호가 죽으면 시간이 흘러야 다시 출력이 나옴.
이경우라면 일반 주행시에도 엔진이 꿀꺽하는 느낌이 납니다.
즉, 차량주행시에도 순간적으로 엔진에 점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 디스트리뷰터가 문제가 아니고 그속에 내장된 RPM 센서가 문제죠.
RPM 신호는 ECU에게 가장 중요한 신호입니다.
=> 이현상은 세피아 95년식에도 발생했던 문제입니다.
2. 엔진룸내에 있는 연료펌프 제어 릴레이를 교환.
=> 반드시 연료펌프 릴레이의 접촉상태 (빼서 녹이나 스파크 흔적)
를 점검하세요.
3. 연료펌프까지의 배선 점검 (흔들면서 통전시험)
4. 하이텐션 코드 점검필수 (흔들면서 저항측정 필요)
이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점검해 보시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강성현 wrote:
>밑에 있는 분의(스쿠프)내용을 대충읽어 보았는데, 저도 그와 증상이 비슷한것같군요.
>저는 93년식 에스페로 차주인데요, 저는 주행중에는 엔진시동이 꺼지는 일은없고 정차시에 또는 반 클러치 상태에서 저속으로 운행시 엔진이 꺼질려고 하는군요. 정차시에보통 1000rpm 이어야 하지만 시동이 꺼질려고 하면서 1000rpm 이하로 떨어지면서 계기판이 춤을 추는군요. 그러면서 시동이 꺼질려고 하면하는데
>이때에 엘셀레이터를 밟아도 출력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이상태에서 시동을 다시걸면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15-20분정도 지나면 걸리구요. 2달전에 시동이 걸리지 않아서 연료펌프가 나갔다고하여 중고로 갈았던적이 있고 rpm이 춤을추는 관계는 카본제거및 서브모타까지 갈아보았지만 역시 같은 현상만 되풀이 됩니다. 이런 증상도 연료열간장애 인지 알고 싶군요. 연료열간 장애라면 일러주신 임시방편조치로 여름에만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사용하면 않되는것인가요?
>현재 8만k 운행했는데 차가 잦은고장을 내는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보내주신 메일도 받아 보았습니다만,
정확히 원인을 파악하기가 힘들어 답변을 미루고 있었습니다.
- 먼저, 열간장애일 경우, 한 여름에만 나온다고 보시면 틀림이 없습니다.
따라서 1000 rpm 부근에서 시동꺼짐이 봄에도 발생했다면, 또 온도와
관계없이 오전이나 저녁에도 발생하면 열간장애라고 볼수 없습니다.
(답변 주세요)
- 밑에 스쿠프의 열간장애 대책은 여름에만 적용하시고 그외 계절에
원래대로 하고 다니셔도 �I찮습니다.
- 먼저, 제가 에스페로의 엔진 콘트롤러 쪽 정보는 없어서, ECU의 배선도를
보니까, 엔진제어에 필요한 엔진회전수를 디스트리뷰터내에 내장된 센서를
사용하는것 같더군요.
- 일단 저속주행시 시동이 꺼질만한 요인은 카센터 분 말마따나, 아이들서보
모터나, 서보모터내의 카본이 충분한 원인은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교환/청소를 하셨는데도 계속 발생하면 그 쪽이라고 볼수 없죠.(당연^^)
- 또 연료펌프 불량이라고 해서 교환하셨다고 했는데, 연료펌프의 불량이라면,
시동성 문제도 있었을 테 지만, 간헐적으로 증상이 발생했었다면,
연료펌프 자체 보다는 연료펌프로 이어지는 전기배선의 문제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일단 제가 지금 조언해 드릴수 있는것은
1. 디스트리뷰터 : 디스트리뷰터 안이 오염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오염되어 있으면 청소! 디스트리뷰터 안에 있는 센서 점검.
엔진회전수 센서가 열받으면 출력이 안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한번 신호가 죽으면 시간이 흘러야 다시 출력이 나옴.
이경우라면 일반 주행시에도 엔진이 꿀꺽하는 느낌이 납니다.
즉, 차량주행시에도 순간적으로 엔진에 점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 디스트리뷰터가 문제가 아니고 그속에 내장된 RPM 센서가 문제죠.
RPM 신호는 ECU에게 가장 중요한 신호입니다.
=> 이현상은 세피아 95년식에도 발생했던 문제입니다.
2. 엔진룸내에 있는 연료펌프 제어 릴레이를 교환.
=> 반드시 연료펌프 릴레이의 접촉상태 (빼서 녹이나 스파크 흔적)
를 점검하세요.
3. 연료펌프까지의 배선 점검 (흔들면서 통전시험)
4. 하이텐션 코드 점검필수 (흔들면서 저항측정 필요)
이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점검해 보시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강성현 wrote:
>밑에 있는 분의(스쿠프)내용을 대충읽어 보았는데, 저도 그와 증상이 비슷한것같군요.
>저는 93년식 에스페로 차주인데요, 저는 주행중에는 엔진시동이 꺼지는 일은없고 정차시에 또는 반 클러치 상태에서 저속으로 운행시 엔진이 꺼질려고 하는군요. 정차시에보통 1000rpm 이어야 하지만 시동이 꺼질려고 하면서 1000rpm 이하로 떨어지면서 계기판이 춤을 추는군요. 그러면서 시동이 꺼질려고 하면하는데
>이때에 엘셀레이터를 밟아도 출력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이상태에서 시동을 다시걸면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15-20분정도 지나면 걸리구요. 2달전에 시동이 걸리지 않아서 연료펌프가 나갔다고하여 중고로 갈았던적이 있고 rpm이 춤을추는 관계는 카본제거및 서브모타까지 갈아보았지만 역시 같은 현상만 되풀이 됩니다. 이런 증상도 연료열간장애 인지 알고 싶군요. 연료열간 장애라면 일러주신 임시방편조치로 여름에만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사용하면 않되는것인가요?
>현재 8만k 운행했는데 차가 잦은고장을 내는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