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 성능 점검 |
차가운 날씨는 엔진의 이상(시동 곤란, 공회전 불안정, 시동 꺼짐, 출력 감소 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에어클리너의 여과지,연료 필터 등을 점검합니다. |
연료 주입 |
너무 많은 연료를 탱크에 주입하고 주행하면 연료의 증발에 의해 연료의 넘침(overflow)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여름철에는 연료를 적게 주입하는 것이 차량 중량도 가벼워져서 연료소모에 도움이 되지만, 수증기가 쉽게 응결되는 겨울철에는 연료탱크 내에 빈 공간이 적게 하는 것이 수분의 응결에 의한 연료의 희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점화 플러그 |
정체 주행이 많거나 단거리 이동 후에 시동을 끄고 걸기를 반복하는 주행패턴을 가지는 경우에는 점화플러그의 카본파울링 현상을 유의해야 합니다. 카본파울링 현상이 발생하면 엔진의 실화가 발생하므로 엔진의 출력이 떨어지고 또 연료 소모도 많아집니다. |
냉각수 |
냉각수에 적절한 비율의 부동액이 혼입되어야 합니다. 또, 구동용 벨트의 경화로 인한 미끄러짐(Slip)으로, 냉각수가 엔진 내부를 순환하도록 도와주는 냉각수 펌프의 구동이 안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합니다. |
와이퍼 |
겨울철에는 와이퍼에 얼음이 응결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유리창에 쌓여있는 눈이나 얼음을 걷어내는 기구(Scraper)를 준비합니다. |
히터/성에 제거장치 |
여름철에는 사용하지 않는 히터나 성에 제거 장치의 작동을 확인합니다. 차량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생기는 김서림을 제거하는 데에 효과가 있는 뒷유리창 성에 제거 장치의 성능은 꼭 사전에 확인합니다. |
배터리 |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시동을 걸 때, 더 많은 배터리 출력이 필요합니다. 시동이 잘 안걸린다고 오랫동안 시동 키를 잡고 있으면 안됩니다. 시동 키는 짧게 여러번 돌리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배기관 |
겨울철에는 아무래도 차 안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많아집니다. 배기관이 새는 경우에는 유해한 배출가스가 차 안으로 들어올 수 있으므로 배기관이 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
타이어 |
너무 많이 닳은 타이어는 미끄러운 도로에서 제대로 조향능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