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박스/LPG 자동차

Vaporizer : 베이퍼라이저 종합

카즈앤미 2000. 10. 22. 17:24


Vaporizer : 베이퍼라이저 종합
    LPG자동차에서 LPG연료가 연료Bombe에서 나와서 연료라인 제어용 밸브를 거치고 나면 베이퍼라이저에 도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베이퍼라이저에 공급되는 연료는 여전히 압력이 높은 상태에 있으며 액체상태입니다. 이 고압의 액체연료를 기체연료상태로 변환시키고, 연료압력도 믹서를 통하여 엔진에 공급될 수 있도록 대기압근처로까지 감압시키는 부품이 베이퍼라이저입니다. 베이퍼라이저를 통하여 연료압력을 대기압근처로까지 감압시키는 이유는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제어가능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그렇게 합니다.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제어용 밸브를 조금만 열어도 너무 많은 연료가 공급되어 미세한 연료조절이 힘들어집니다.

 



Photos from www.cci.co.kr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베이퍼라이저는 동일 회사의 제품이기 때문에, 자동차제작사에서 제작하는 LPG전용자동차의 베이퍼라이저와 Aftermarket에서 가솔린-LPG겸용자동차로 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베이퍼라이저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LPG연료와 공기를 혼합하는 믹서(mixer)는 차종에 따라 약간씩 구조가 다르지만,베이퍼라이저는 종류가 많지 않습니다. 그 기능이 명확하기 때문에 종류가 많지 않고 그 구조 또한 유사합니다.위의 그림에서도 알 수 있지만 베이퍼라이저의 구조는 복잡합니다. 연료압력을 조절하는 기능과 액체연료를 기체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1차실,1차실에서 감압된 연료를 다시 대기압수준까지 감압시키고 믹서로 연료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는 2차실,그리고 각 실의 압력조절기구 및 다이아프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액체연료를 기체연료로 변환시키는 데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엔진냉각수의 통로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것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은 1차실과 2차실을 연결하는 통로를 단속하는 2차밸브와 이 2차밸브를 제어하는 2차실 다이아프램의 연동구조입니다. 2차실에서 믹서로 연결되는 연료공급통로의 일부는 항상 Open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차실로 연료가 유입되는 통로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연료공급을 원하는대로 정확하게 할 수가 없고, 시동성이 나빠지는 등의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2차실 다이아프램은 2차실에 충진되어 있는 연료를 믹서로 공급합니다.이때
다이아프램은 미세한 압력 차에 의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의 신축성이 떨어지거나 다이아프램이 파손되면 제 기능을 다할 수 없으므로 다이아프램의 내구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2차실에 타르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타르에 의한 2차실 다이아프램의 오작동을 방지하려는 데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