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전달장치의 역할과 기본 성능
 

    전 회에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가난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이들 구성품들의 역할과 그 기본 성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장 치

역할과 기본 성능

發進裝置
(발진장치)

 차량이 정지해있는 상태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바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주행시에는 접속하는 기능이 발진장치의 역할입니다. 수동변속기의 마찰클러치(Clutch)와 자동변속기의 토오크컨버터(Torque Converter)가 여기에 속합니다. 磁性을 이용한 電磁클러치나 원심력의 단속을 행하는 遠心클러치도 있습니다.

變速機
(변속기)

 자동차가 저속에서 고속까지의 여러 가지의 주행조건에서 운전되려면 복수의 변속비로 엔진의 토오크를 주행에 적합하게 변환해야 합니다. 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변속기의 주된 역할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수동변속기는 5단의 변속단을 가지고 있으나 일부 차량에서는 6단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동변속기의 경우에는 4속변속기가 주류를 이루나 연료소비나 동력성능의 측면에서 5속변속기의 장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벨트를 이용하여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무단변속기(CVT)도 채용되고 있습니다.

推進軸
(추진축)

 엔진과 변속기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바퀴는 완충장치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양자간의 상대변위에 의한 길이나 각도의 변화를 흡수해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변속기와 종감속기 사이에 있는 것을 프로펠라샤프트, 종감속기와 바퀴 사이에 있는 것을 드라이브샤프트라고 합니다.

終減速機
(종감속기)

 동력전달장치 전체에서 얻어지는 변속비를 변속기만으로 달성하려면, 변속기의 변속비를 크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종감속기라는 감속기를 변속기의 출력측에 부착하여 변속기를 compact하게 만들려고 하는 것입니다. FR차량에서는 하이포이드기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FF차량에서는 헬리컬기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또, 변속기와 종감속기를 일체화 시킨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트랜스액슬이라고합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