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펌프
전기 연료펌프는 장착방법에 따라 In-tank방식과 In-Line방식으로 나뉜다. 연료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In-Line방식과는 다르게 In-tank방식은 연료 탱크 내부에 연료펌프를 설치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승용차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연료필터
연료 속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인젝터, 압력조절기 등이 고장이 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제작사에서 직접 제조하지 않는 연료 탱크 내부에는 공급과정 중에 불순물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노후되었거나 잘 관리되지 않은 Gas Station Reservoir에서 주유 중에 불순물이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료 속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10미크론정도의 기공을 가진 여과지로 만들어진 필터를 사용한다.
* Fuel Rail
연료관 내부에 있는 연료를 각 기통에 설치되어 있는 인젝터에 고르게 분배하기 위해서 Fuel rail을 사용한다. Fuel Rail에 인젝터가 연결되고, Fuel Rail의 한 쪽 끝에 압력조절기가 설치되어 연료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Fuel Rail은 임의의 인젝터가 연료를 분사하더라도 그 유량의 변동에 의하여 연료관 내에 압력변동을 일으킺 않는 크기이어야 한다.
* 압력 조절기
만일 연료관의 압력이 계속적으로 변한다면, ECU에서 산출한 연료량을 정확하게 분사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연료관 내의 압력과 연료가 분사되는 흡기관 사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연료량 제어는 단순히 인젝터의 분사밸브가 열리는 시간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능해진다. 압력조절기는 Fuel Rail과 흡기관 사이의 압력 차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이때 압력 유지에 필요한 연료 이상의 여분의 연료는 Return Line을 통하여 다시 연료탱크로 되돌려 보내진다.
연료의 증발가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연료의 증발을 저감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FUel Vapor의 생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연료계 압력을 높이는 것도 그 중 하나이다. 그래서 근래에 들어서는 Fuel Rail의 연료압력을 3.3bar이상으로 하고 있는 차량도 있다.
* 인젝터
차량의 매끄러운 주행과 적은 연료 소모는 정밀한 범위 내로 혼합기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것에 달려 있다. 계측된 흡입공기량과 일정한 비율을 이루는 연료량이 분사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정확한 분사시기를 놓쳐서도 안된다. 이런 이유로 인젝터로는 전자기적 힘에 의해서 구동되는Electro-Magnetic Injector가 사용된다. ECU에서 멸령되는 시점에, 명령된 시간동안만 밸브가 열림으로써 정확한 연료분사를 꾀하는 것이다.
인젝터의 연료분출구인 Spray Hole은 연료가 실린더 헤드의 벽면과 충돌하지 않도록 Hole의 크기와 위치가 결정되며 따라서 엔진마다 다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