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까지 별로 귀에 익숙하지 않은 인디언 썸머를 방송에서 말할 정도로 비교적 따뜻했던 날씨가 갑자기 추워졌습니다. 기온이 떨어지면 우리의 생활에도 불편함이 많아지듯이, 자동차에게도 날씨가 추워지는 것은 그다지 반가운 것은 아닙니다.
아직 눈이 내리는 계절은 아니지만 금년 겨울을 대비하여 미리미리 자동차를 점검하고 추운 날씨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겨울철에 대비한 자동차의 점검부위는 어떤 것인가를 퀴즈의 형태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퀴즈를 풀어보면서 하나씩 알아가도록 합시다.
QuiZ!!!
아직 눈이 내리는 계절은 아니지만 금년 겨울을 대비하여 미리미리 자동차를 점검하고 추운 날씨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겨울철에 대비한 자동차의 점검부위는 어떤 것인가를 퀴즈의 형태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퀴즈를 풀어보면서 하나씩 알아가도록 합시다.
QuiZ!!!
(1) 겨울에는 시동걸기가 힘들어지는데, 기온이 떨어지면 배터리가 약해지는 것도 그 원인의 하나이며, 그것은 배터리 전해액의 비중이 커지기 때문이다. |
(2) 냉각수에 부동액을 넣을 때에 물과 부동액의 혼합비율은 50:50이 적당하다. |
(3) 엔진 과열은 여름철에만 일어나는 것으로 겨울철에는 엔진과열의 염려가 없다. |
(4) 와셔액은 4계절용이므로 특별히 겨울용으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
(5) 겨울철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가득 넣고 다니는 것이 좋다. |
Answers:
(1) 기온이 떨어지면 배터리가 약해져서 시동걸기가 어려워지는 원인 중에 하나가 된다. 그 이유는 기온이 낮아지면 배터리 전해액의 비중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
(2) 우리나라의 기온변화 조건에서는 50:50정도면 괜찮다. |
(3) 엔진 냉각수가 오염이 많이 되어서 냉각수 통로가 막혀 있거나, 냉각수 유량이 부족하면 계절에 관계없이 엔진과열이 일어날 수 있다. |
(4) 주유소에서 서비스용으로 증정하는 푸른색 와셔액은 기온이 떨어지면 얼기 쉽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사용할 수 없다.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는 와셔액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5) 물론 연료탱크에 가득 연료를 채우면 차량의 중량이 무거워져서 연료소모나 기동성 측면에서 불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연료의 증발이 많은 여름과 달리,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하기 쉬운 겨울에는, 응결된 물방울에 의한 연료의 희석을 줄이기 위해서 연료탱크 내의 빈 공간을 줄이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