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점화기관의 연소실 내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전기적 불꽃(Electrical Spark)을 만들어 주는 장치가 점화계(Ignition System)이다. 점화계는 고전압을 유도하는 점화코일(Ignition Coil), 각 기통에 고전압을 배분하는 배전기(Distributor), 고전압에 의해 전기적 불꽃이 방전되는 점화플러그(Spark Plug), 그리고 점화플러그까지 고전압을 전달하는 하이텐션코드(High Tension Cord)로 구성되어 있다. 요즘에는 배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제어 ECU가 직접 각 기통에 고전압을 배전하는 형식은 무배전기방식(D.L.I. : Distributor-Less Ignition)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 사용하던 배전기방식에서 현재의 DLI방식으로 발전하기까지에는 CI, TI, ESA, DLI와 같이 여러 가지 형식이 사용되었는데, 각 형식들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 배전기의 기능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따라 구분되어진다. 우선 배전기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고전압 유도 기능( Triggering Ignition Pulse)
      : 점화코일의 1차코일에 흐르고 있는 1차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2차코일에 고전압이 유도되도록 하는 기능
 (2) 점화시기의 조절(Adjusting Ignition Timing)
      : 엔진의 회전수나 흡기관부압의 정도에 따라 점화시기를 진각(Advance)시키거나
        지연(Retard)시키는 기능
 (3) 고전압의 기통별 분배 (Distributing Ignition Pulse)
      : 전기 불꽃에 의한 혼합기의 연소가 개시되어야 하는 기통에 고전압을 배분하는 기능.

    각 형식별로 위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1)

(2)

(3)

Coil Ignition
(CI)

기계식

기계식

기계식

Transistorized Ignition
(TI)

전자식

기계식

기계식

Electronic Spark Advance
(ESA)

전자식

전자식

기계식

DistributorLess Ignition
(DLI)

전자식

전자식

전자식

     TI방식은, 기계적으로 고전압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CI방식에서는 전기 에너지나 최고 전압이 제한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전압 유도 기능을 전자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배전기가 기계적으로 수행했던 기능들을 점차 전자식으로 변경하는 과정 중에 TI방식이나 ESA방식을 사용했는데, 따라서 ESA방식까지는 배전기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가솔린,LPG자동차는 ESA방식이거나 DLI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DLI방식으로의 변경이 기술적 추세가 되고 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