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화코일은 1차코일과 2차코일로 구성되어 있고, 방전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고전압을 유도하는 부품이다. 1차코일과 2차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방전전압이 결정된다. 이때 유도되는 2차전압은 요구전압(점화플러그의 양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보다 더 커야 한다. 또, 높은 엔진 회전수에서의 짧은 시간 동안에 방전에 필요한 전기적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많이 채택되고 있는 DLI점화방식에서 사용되는 점화코일은 소형이고 경량인 폐자로형 코일이다.
DLI점화방식에서는 동시점화코일(Double Ended Coil)과 실린더별 점화코일(Single Ended Coil)의 2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동시점화코일을 사용하는 방식을 D-DLI라고 하고, 실린더별 점화코일을 사용하는 방식을 S-DLI라고 하는데, S-DLI에서는 각 기통별로 점화코일이 연결되어 있으나, D-DLI에서는 1개의 점화코일이 2개의 기통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4기통 엔진에서는 S-DLI 경우에 4개의 점화코일이 사용되나, D-DLI에서는 2개의 점화코일이 사용된다.
아래 표에 S-DLI와 D-DLI에서의 점화코일 작동을 기통별로 표시하였다.
[ S-DLI ]
#1 실린더 |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
흡입 |
#3 실린더 |
배기 |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
#4 실린더 |
팽창 |
배기 |
흡입 |
압축★ |
팽창 |
#2 실린더 |
압축★ |
팽창 |
배기 |
흡입 |
압축★ |
[ D-DLI ]
#1 실린더 |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
흡입 |
#3 실린더 |
배기★ |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
#4 실린더 |
팽창 |
배기★ |
흡입 |
압축★ |
팽창 |
#2 실린더 |
압축★ |
팽창 |
배기★ |
흡입 |
압축★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D-DLI의 경우 전기적 방전이 두 기통에서 동시에 발생하지만, 배기과정 중에 있는 실린더에서는 미연소 혼합기의 연소를 시작시킨다는 방전의 목적이 실현될 수 없고, 실제의 점화는 압축행정의 실린더에서만 진행된다. DLI적용의 초기에는 점화코일의 가격이 비싼 점도 D-DLI방식을 선택하게 했었지만, 현재는 전기적 방전의 허실을 막고 기통별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점차 S-DLI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