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디젤:Diesel) 엔진은 가솔린 엔진에 비해 연료의 소모가 적고 또한 엔진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저속에서의 토오크 특성이 양호하여 대형버스나 트럭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근래에 들어 축적된 엔진 기술을 바탕으로 한 유럽의 경유자동차 확장은 지구온난화가스 저감 추진계획(CO2 Reduction Agreement)과 맞물려 자동차업계의 큰 흐름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유 자동차는 아직까지 질소산화물과 입자상물질의 저감이라는 기술적 과제가 부담으로 남아있고, 그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환경부도 CNG버스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미국에서 수행된 시험결과로서 경유버스와 CNG버스의 유해가스 배출량을 비교한 것입니다. CNG버스가 탄화수소의 배출이 더 많아지지만, 다른 유해가스에 대해서는 경유버스에 비해 더 적게 배출함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특징 때문에 환경부가 CNG버스의 확대에 노력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경유엔진의 생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과 인프라를 모두 CNG로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경유엔진의 배출가스 저감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유엔진의 배출가스를 저감하는 기술은 아래 표와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유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것은, 저유황 경유를 연료로 하고 엔진기술과 후처리 장치 기술이 효과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다시 말하여 3박자가 맞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경유 자동차는 아직까지 질소산화물과 입자상물질의 저감이라는 기술적 과제가 부담으로 남아있고, 그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환경부도 CNG버스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미국에서 수행된 시험결과로서 경유버스와 CNG버스의 유해가스 배출량을 비교한 것입니다. CNG버스가 탄화수소의 배출이 더 많아지지만, 다른 유해가스에 대해서는 경유버스에 비해 더 적게 배출함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특징 때문에 환경부가 CNG버스의 확대에 노력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경유엔진의 생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과 인프라를 모두 CNG로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경유엔진의 배출가스 저감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유엔진의 배출가스를 저감하는 기술은 아래 표와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유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것은, 저유황 경유를 연료로 하고 엔진기술과 후처리 장치 기술이 효과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다시 말하여 3박자가 맞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술 구분 |
세부 기술 |
영향도 | |
NOx |
PM | ||
엔진 |
연소실 개선 |
● |
● |
Turbo-charger Intercooler |
|
● | |
4밸브화 |
|
● | |
전자 제어 고압 분사 |
● |
● | |
Multi-Stage Injection |
● |
● | |
배기가스재순환 |
● |
| |
후처리 |
De-NOx 촉매 |
● |
|
디젤산화촉매 |
|
● | |
Diesel Particulate Filter |
|
● | |
연료 |
저유황 경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