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 중에 맞닥뜨리는 위험한 상황 보다 더 위험한 것은 운전자가 느끼는 공포감일 것입니다. 짧은 순간이라고 할지라도, 갑자기 차량이 운전자의 생각이나 의지와 무관하게 움직이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느끼는 공포감은 한동안 잊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해보신 분들은 압니다.
  요즘처럼 아침의 기온이 낮을 때, 약간의 물기에도 도로의 표면이 얼어 있으면, 운전자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겉보기에는 평상시와 다를 바가 없는 듯하나,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순간, 차량이 그대로 미끄러진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로 중에 교량이 있거나 터널이 있는 곳은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교량의 연결부위나 터널을 빠져 나오는 곳이 그럴 가능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미끄러운 도로에서
감속할 때

젖어 있거나 얇게 얼음이 덮힌 도로에서는 차량의 속도를 줄일 때,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전에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한다는 것은 액셀페달을 밟지 않고 변속기의 변속기어단을 한단계 낮추어서 엔진의 회전수를 올리는 조작방법을 말합니다.
수동변속기 차량에서는 변속기어를 1단 낮춥니다.
자동변속기 차량은 S나 L로 변경하든지, Hold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빙판길에서 출발할 때

빙판길과 같이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너무 큰 구동력이 갑자기 바퀴에 전달되면 바퀴가 헛돌 가능성이 커집니다. 바퀴가 헛돌게 되면 더욱 도로가 미끄러워지게 되어 출발할 수가 없게 됩니다.
빙판길에서는 바퀴에 구동력이 서서히 가해지도록 해야 하며, 그 때문에 2단출발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요즘 끈끈한 접착제성분을 분무하는 스프레이 상품도 있습니다. 타이어에 끈끈이 스프레이를 분무하는 것도 좋은 예방책입니다.
스프레이가 없다면 타이어의 공기압을 약간 낮추는 것도 방법입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지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마찰력이 증대되기 때문입니다.

진흙탕에 빠졌을 때

진흙탕에 빠진 것은 빙판길 보다 더 곤란한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바퀴가 헛돌수록 더 진흙탕에 깊숙이 빠져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빠져 나오는 방법은 빙판이나 눈길에서와 유사합니다. 부드럽게, 그리고 서서히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해야 합니다.
또, 모래나 자갈, 나무 등을 구동바퀴 앞 쪽에 까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가장 좋은 방법은 다른 차량이 끄는 방법입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