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때까지 보통 1.5초정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따라서, 공주거리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시속 40km/h일 때에 비해 시속 80km/h일 때의 공주거리는 2배나 길어집니다. 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하여 제동장치에 균일한 제동력이 작용한다고 해도 제동거리는 차량속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시속 80km/h일 때의 제동거리는 시속 40km/h일 때보다 4배나 길어집니다.
한편, 제동거리는 도로면의 상태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아스팔트도로에서는 콘크리트도로에 비해서 도로면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제동거리가 길어집니다. 빙판아스팔트도로는 건조한 아스팔트도로에 비해 저항계수가 30%에 지나지 않으므로 빙판길에서는 제동거리가 3배나 길어집니다. 결국, 빙판길에서는 차량속도를 50%수준으로 낮춰야지만 건조한 도로에서의 제동거리와 비슷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승용차의 차속에 따른 정지거리의 계산 예를 아래 표에 보입니다.
차량속도[km/h] |
초속[m/s] |
공주거리[m] |
건조 아스팔트 |
빙판도로 | ||
제동거리[m] |
정지 거리[m] |
제동거리[m] |
정지 거리[m] | |||
32 |
8.89 |
13.34 |
6.1 |
20.1 |
||
64 |
17.78 |
26.67 |
24.4 |
80.5 |
||
96 |
26.67 |
40.01 |
54.9 |
181.2 |
||
128 |
35.56 |
53.34 |
97.6 |
3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