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솔린엔진은 공기를 많이 먹어야 큰 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가솔린엔진의 출력을 결정하는 기본 인자는 엔진이 흡입하는 공기의 양입니다. 엔진이 흡입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드로틀밸브이고 이것을 운전자가 조작할 때 사용하는 것은 가속 페달입니다. 가속 페달을 많이 밟으면 드로틀밸브가 많이 열리고, 가속페달을 적게 밟으면 드로틀밸브가 적게 열립니다.
  만약, 가속페달을 많이 밟았다가 놓았을 때 드로틀밸브가 닫히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드로틀밸브가 닫히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은 상태고, 또 이 공기 양에 맞게 연료는 분사되는 것이므로, 엔진에서는 여전히 큰 출력을 내고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가속페달을 놓은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결과로, 운전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가속 페달을 놓았을 때는 드로틀밸브가 확실하게 닫히는 것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가속 페달이 밟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드로틀밸브가 확실하게 닫힌 상태로 있게 하는 것이 리턴스프링(Return Spring)입니다. 드로틀밸브의 복귀작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보통 리턴스프링은 2개조가 장착됩니다. 그래서 만일의 경우, 리턴스프링 1조가 파손되어 복귀작용을 하지 못하더라도 남은 1조의 리턴스프링이 드로틀밸브의 복귀작동을 완수하게 되어 있습니다.
                             
  한편, 가속 페달은 운전자의 의도를 엔진에 전달하는 유일한 장치입니다. 그래서 가속페달에 의해서 드로틀밸브가 어느 정도 열려 있는지가, 운전자의 의도를 엔진이나 자동변속기의 전자제어장치에 반영하는 입력정보로 전달되고 있습니다. 엔진이나 자동변속기의 전자제어장치에 드로틀밸브의 열림정도를 전압의 형태로 전달하는 부품이 T.P.S(드로틀 포지션 센서: Throttle Position Sensor)입니다. TPS는 드로틀밸브의 회전중심축에 연결되어 드로틀밸브의 회전각도를 전압의 변화로 나타나게 하는 부품으로 엔진제어장치와 자동변속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기본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합니다.
  우선 엔진에서는 TPS의 정보를 가지고 엔진공회전 여부를 판별합니다. TPS가 드로틀밸브가 닫혀 있다는 신호를 제공하면 엔진제어장치는 그때를 공회전으로 판정하여 적절한 공회전 제어를 수행하게 됩니다. 또, 이 신호의 변화량으로 가속 여부를 판정하여 적절한 연료제어를 합니다. 그리고, 이 TPS신호는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로 하여금 자동변속이 일어나게 합니다. 자동변속기 제어장치는 이 TPS신호와 차량속도를 기본정보로 하여 자동변속을 제어합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