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낮의 기온이 많이 상승하여, 이제는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고서는 운전하기 힘들다는 운전자들도 있을 것입니다. 에어컨이 운전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너무 에어컨에만 의지하여 무리하게 작동시키면 엔진에 무리를 주어 엔진과열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에어컨의 무리한 작동에 의해 엔진과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가파른 경사길을 장시간 올라갈 때, 차가 정지한 상태에서 장시간 에어컨을 작동시킬 때 등이 해당됩니다.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컨 시스템은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증발기 -> 압축기 -> 컨덴서 -> 리시버/드라이어 ->증발기를 순환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림에서 빨간색 라인은 냉매가 고압인 상태이고, 파란색 라인은 냉매가 저압인 상태입니다. 냉매가 이렇게 많은 부품들을 거쳐가기 때문에 2~3년 사용하다보면 냉매가 연결라인들의 접속부에서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매가 누설되어 냉매의 양이 불충분하면 냉방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냉매가 부족하여 에어컨 성능이 저하되면 송풍팬을 작동해도 미지근한 바람이 나올 뿐 시원하지 않습니다. 냉매의 누설이 계속되어 과도하게 냉매가 부족하게 되면 에어컨 작동이 중단되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냉매의 누설부위를 확인하여 수리를 해야 하고, 부족한 냉매를 보충해야 합니다. 그런데, 냉매의 양이 너무 많아도 에어컨 압축기의 압축압력이 상승하여 관련부품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취약한 이음 부위에서 누설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냉매의 양이 적절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냉매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은 리시버/드라이어의 관측창을 통하여 기포의 발생정도를 관측하는 것입니다. 리시버/드라이어는 대개 헤드라이트 뒤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왼쪽 그림에서처럼 상부에 조그마한 관측창이 있는 알루미늄 원통입니다. 엔진과 에어컨을 작동시킨 다음 관측창을 통해 나타나는 기포의 상태를 보면 냉매의 양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냉매의 양이 적절할 경우 소량의 기포가 흐르나, 냉매의 양이 부족하면 기포의 발생이 많습니다. 반대로 냉매의 양이 너무 많으면 뿌옇기만 하고 아무 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