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line-height:150%;"> color="#6936AF"> 일간지에 소개된 "자동차 정비상식"에 관하여 ....
face="Times New Roman" size="2" color="#6936AF"> face="Times New Roman" size="2" color="maroon"> face="굴림" size="2" color="#4F4F4F"> size="2" color="#525252"> 일간지마다 자동차의 정비에 관한 상식을 주기적으로 게재하는 코너들이 있습니다. 이런 코너를 모아두었다가 시간이 날 때마다 읽어서 자신의 지식으로 쌓아가는 것은 차량관리비용을 줄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데, 그런 코너에 실린 내용 중에 조금 잘못되었거나 2% 부족한 부분이 있어서 이를 다뤄봅니다.
style="line-height:150%; margin-right:2px; margin-left:3px;"> face="굴림" size="2" color="#525252">과거에 비해 차의 성능이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1∼2분 정도 워밍업해주는 것이 차량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 엔진이 가장 좋아하는 온도는 85∼95도이다. 출발전 워밍업은 차의 엔진과 주변기계를 천천히 데워 주면서 원활한 윤활 작용을 돕는다.
style="line-height:150%; margin-right:2px; margin-left:3px;"> face="굴림" size="2" color="#525252"> 시동을 걸고 나서 출발하기 전에 어느 정도의 warm-up이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warm-up이라는 것이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엔진만 작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 전체가 warm-up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 1~2분정도 warm-up을 해준다고 해서 엔진의 냉각수온이 엔진이 좋아하는 온도까지 올라가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warm-up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30초정도를 권장합니다. 기온이 낮은 겨울에도 warm-up시간으로 1분정도를 권장합니다. 엔진 이외의 차량의 다른 부품들의 warm-up은 차량을 서서히 주행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style="line-height:150%; margin-right:2px; margin-left:3px;"> face="굴림" size="2" color="#525252">자동차 정비는 경제성에 바탕을 둬야 한다.타이밍벨트 교환주기는 8만㎞,엔진오일 교환주기는 대략 1만㎞로 정해져 있다.또 자동변속기 오일은 아무리 가혹한 조건이라도 5만㎞에 한번 교환하면 된다.
style="line-height:150%; margin-right:2px; margin-left:3px;"> face="굴림" size="2" color="#525252"> 몇 년 전까지는 국내에서 생산된 차량의 가솔린엔진들에 장착된 타이밍벨트에 요구되는 내구수명이 최소 8만km였으므로, 타이밍벨트의 교환주기를 대개 8만km로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타이밍벨트의 요구수명이 16만km인 차량들도 생산,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타이밍벨트의 교환주기가 더 이상 8만km로 못박힐 수 없습니다. 또, 자동변속기오일의 교환주기도 자동변속기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므로 아무리 가혹한 조건이라도 5만km를 고집할 것이 아니고, 각 차량의 사용자설명서를 확인해야 합니다. 참고로 현대자동차는 대개 4만km에 교환하라고 사용자설명서에 적혀 있더군요.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밸브는 배출가스 재순환장치가 아닙니다. 영어를 그대로 해석하면 의미가 잘 안통하므로 의역해서 엔진오일통로 환기용 밸브라고 해야 하지요. 그래도 이상하므로 그냥 PCV라고 합니다. 이것은 엔진오일의 증기나 블로우바이 가스가 직접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