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의 최적 공기압은 차량의 중량 상태, 차량의 주행 조건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지만, 대개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적정공기압을 제작사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적정한 상태로 공기압이 유지되는 타이어는 조향성능이나 구동성능에서 양호한 능력을 보이고 또한 안전운전과 타이어의 수명 연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 보다 더 높거나 낮으면 당연히 타이어의 마모나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만,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가 더 문제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을 때 어떤 문제들을 야기하는지 알아봅니다.
  그러나, 적정 타이어 공기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타이어 공기압은 타이어가 cold상태일 때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합니다. 즉, 자동차 제작사에서 제시하는 적정 공기압은 20℃정도인 온도 상태에서의 공기압을 말하는 것입니다.

연비 악화

공기압이 낮으면 차량 중량에 의해 타이어가 눌리는 정도가 심하므로 타이어와 도로지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커집니다. 따라서, 타이어와 도로 지면 사이의 저항이 커지고, 이를 이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출력을 내야 하므로 연료소모가 많아집니다.

타이어 수명 단축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지는 것은 당연히 타이어의 마모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타이어의 수명이 짧아집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 보다 10%씩 낮을 때마다 타이어의 수명도 10%씩 단축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적정 공기압이 30psi인 타이어의 수명이 10만km라고 한다면, 공기압이 27psi일 경우에는 수명이 9만km, 24psi일 경우에는 8만km로 단축된다는 것입니다.

타이어 파손

주행 중의 타이어 온도 상승 폭이 커집니다. 타이어 온도가 높아지면 타이어가 파손되거나 타이어 펑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핸들조정성,
제동성능 악화

차량의 중량이 4개의 타이어에 고르게 배분되지 못하므로 조향성이나 제동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