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엔진을 제어하므로 엔진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고장이 특정 부품의 손상이나 갑작스런 기능 정지이던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90년대 중반 이후의 승용차들은 거의 대부분 전자식 엔진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엔진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부품의 손상이나 갑작스런 기능 정지는 그다지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고, 엔진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서서히 성능이 저하되어 종국에는 엔진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연료 필터가 막힌다거나, 점화플러그에 연결되는 하이텐션코드가 열화되거나 에어클리너의 필터가 오염되는 것 등이 엔진 성능 저하에 큰 영향을 줍니다. 보통 엔진제어장치는 관련 부품의 고장여부를 진단하여 특정 부품이 고장났을 경우에 정해진 에러메시지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장이라고는 할 수 없는 이런 종류의 Trouble은 증상만 나타날 뿐이어서 엔진제어장치로서도 뾰족한 방법이 없습니다. 이런 부품들은 사용자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교환주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런 면에서 예방 점검이 필요한 것입니다.
아래 엔진 제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고장여부를 엔진제어장치(ECU)가 판단할 수 없는 부품들의 기능과 또 그 기능이 수행되지 못할 때의 증상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아래 엔진 제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고장여부를 엔진제어장치(ECU)가 판단할 수 없는 부품들의 기능과 또 그 기능이 수행되지 못할 때의 증상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
기능 |
고장시 증상 |
써모스탯 |
냉각수가 엔진 내부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순환되는 것을 제어. |
냉각수온이 낮아져서 연료소모가 많아지거나 또는 엔진 과열을 유발하여 노킹이 발생되거나 엔진 성능을 저하시킴. |
점화플러그 |
혼합기를 점화시킴 |
* 엔진진동 심해짐. |
하이텐션코드 |
점화플러그에 고전압 전달 |
* 엔진진동 심해짐. |
PCV밸브 |
엔진오일의 증기성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엔진으로 유입되도록 유도 |
* 엔진오일 소모 증가 |
연료필터 |
연료 중의 이물질을 여과 |
연료 공급에 지장을 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