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솔린엔진의 연료분사는 연료분사량의 결정 방법과 연료분사시기의 결정 방법에 따라 별도의 용어로 구분됩니다. 연료분사량의 결정 방법에 따라 구분하는 용어로는 open-loop와 closed-loop가 있으며, 연료분사시기의 결정 방법에 따라 구분하는 용어로는 동기분사와 비동기분사가 있습니다.
  open-loop는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에는 관계없이 별도의 방법에 의해서 정해진 연료량을 분사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말하며, closed-loop는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에 근거하여 연료분사량을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동을 걸 때나 시동을 건 직 후에는 open-loop 방식에 의해 연료 분사량이 결정됩니다. 반면에 Feed-back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상황에서는 closed-loop 방식으로 연료량이 결정됩니다.
  한편, closed-loop 제어 상황에서도 크랭크샤프트 센서의 산호에 동기되어 일정한 시점에 분사되는 것을 동기분사라고 하며, 급가속 때와 같이 동시분사를 기다리지 않고 즉각적인 연료분사가 필요할 때 일시적으로 분사하는 것을 비동기 분사라고 합니다.
  비동기 분사는 크랭크샤프트 회전각에 동기하지 않는 임시적인 분사입니다. 주행하다가 급가속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가속보정을 통하여 급가속에 필요한 추가적인 연료를 공급합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속보정에 의한 증량보정은 동기분사입니다. 이 동기분사에 의한 증량보정으로도 충족될 수 없는 급가속 소요 연료량을 비동기 분사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것입니다.
  다음 기통에 분사될 연료량을 미리 결정해야 하는 연료분사시스템의 특성상, 급가속에 의해서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질량이 급격하게 변하면 이미 결정된 분사량으로는 공연비를 맞출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공연비를 맞추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추가 연료량을 분사해야 되므로 크랭크샤프트의 회전각과 무관하게 연료를 분사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비동기 분사를 하느냐 마느냐는 가속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그러므로, 엔진의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 가운데에서 가장 빠르게 반응하고, 또 운전자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검출되는 가속페달에 의한 드로틀밸브의 열림각으로 급가속을 검출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로틀밸브 열림각의 변화량으로 급가속을 검출합니다. 드로틀밸브 열림각의 변화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급가속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급가속의 정도 또한 드로틀밸브 열림각 변화량의 크기로 알 수 있습니다. 급가속의 정도가 심하면 드로틀밸브 열림각 변화량이 클 것이고, 따라서 당연히 비동기분사에 의해 추가적으로 분사되어야 할 연료의 양도 많을 것입니다. 그래서, 드로틀밸브 열림각의 변화량이 크면 비동기 분사량도 많아집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