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이 많아지고 또 이동이 빈번하다보니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 중에는 고속도로의 특성을 무시하고, 일반 정체 도로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들이 있습니다. 차량의 속도가 빠른 고속도로에서는 당연히 제동거리도 길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일반도로에서와는 매우 다른 결과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 사고가 나게 되면 그 피해는 매우 위중할 것입니다.
  그래서 대개의 운전자들이 고속도로 주행의 기본 사항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중요한 사항이므로 다시 한 번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고속도로 운전의 기본 사항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기초 사항

* 휴게소에서 본선으로 진입할 경우, 차량속도를 충분히 올린 다음에 진입합니다.
* 다른 차량을 추월한 후에 다시 주행차선으로 진입할 경우, 뒷 차량의 전체가
    룸미러에 보이면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차선에 진입합니다.
* 고속도로에서 제동을 할 경우, 풋 브레이크 보다는 엔진 브레이크를 먼저 사용
   합니다.
* 터널에 진입할 때는 일시적으로 시력이 저하되므로, 터널진입시 미리 차량속도
   를 줄입니다. 터널 내부에서의 차선변경은 위험!
*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터널을 통과할 때는 터널에서 빠져 나오는 지점이 빙판길
   일 가능성이 많으므로 미리 속도를 줄입니다.
* 주행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도, 후방 차량이 추월할 때 보다 안전하게
   추월할 수 있도록 주행차선의 중앙에서 약간 오른쪽을 주행합니다.

금지 사항

* 갓길 주행 및 정차
* 중앙분리대 통과 및 U턴
*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후진

주, 정차

* 정해진 장소 외의 장소에서는 주,정차를 할 수 없습니다.
* 고장이나 연료소진으로 긴급하게 정차하였을 경우,
   후속차량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만 합니다.
   - 차량은 비상등, 주차등, 후미등 등을 켜놓습니다.
   - 200m 이상 충분히 거리를 두고 삼각대 등 안내표시판을 설치하되,
     강풍이나 차량의 주행풍에 등에 의해 안내표지판이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고속도로에서 정차한 차량에 남아 있는 것은 위험하므로, 후속 차량에 대한
     조치를 마치면 신속하게 차량에서 떨어져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