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솔린엔진의 연료양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료 증발가스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 Exhaust Gas Recirculation)의 제어가 있습니다. 이들 제어 기능은 EMS가 배출가스 저감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기능들입니다. 이들 제어를 수행하면 공기량 계측 센서를 통하지 않고 공급되는 공기량이 있게 되거나, 인젝터를 통하지 않고 연료가 공급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므로, EMS의 연료 제어에서 이들을 보상하여야 합니다.
  연료 증발가스 제어는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연료 증기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증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기능입니다. 작동 중인 엔진에서 열을 받거나, 또는 대기 중의 열로 인해 연료 탱크 내의 연료는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연료 중에서 쉽게 기화되는 성분들이 먼저 증발하게 됩니다. 이들 증발가스를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게 되면 HC가스가 배출되는 것이 되고, 또, 그만큼 연료를 낭비하는 것이 되므로, 캐니스터(canister)라는 별도의 용기 안에 증발가스를 포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엔진이 작동 중일 때 캐니스터 안에 포집되어 있는 연료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되돌려 보내 연소실에서 연소되게 하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에 연료 증발가스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캐니스터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 증발가스는 말 그대로 순전히 연료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캐니스터에서 아주 소량의 증발가스가 공급되어도 feed-back 제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 그래서 증발가스를 엔진 공회전 상태에서는 엔진으로 공급하지 않습니다. 또 증발가스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동력원은 대기압과 흡기 부압의 차압이기 때문에 엔진의 흡기 부압이 작은 영역에서는 엔진으로 공급되지 않습니다.
  한편, 배기가스 재순환은 연소실에서의 NOx의 생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일부 차종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연료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될 때, 연소 온도가 높으면 NOx가 많이 생성되므로, 연소 온도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배기가스 중의 일부를 다시 연소실로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EGR이 작동되면, 연소실에 공급되는 흡입 공기의 양이 적어지는 셈이므로 EMS도 연료의 공급량을 줄이게 됩니다. EGR이 작동되게 되면 아무래도 연소가 악화되므로 공회전 상태에서는 EGR 기능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 EGR 역시 배기관의 압력과 흡입 부압 과의 차압에 의해서 작동됩니다. 따라서, 흡기 부압이 작은 엔진 운전 영역에서는 EGR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