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도 운전에 익숙해지면 자동차가 궁금해지기 시작합니다. 자동차에 대해서 궁금해지기 시작했다면 간단한 소모품 교환작업을 직접해보십시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서 과연 내가 직접한 교환 작업이 제대로 되었는지 염려도 되고, 또 그것 때문에 괜히 사고는 나지 않을까?하는 걱정도 있게 됩니다만, 중요한 작업이 아니면 곧바로 사고가 난다든지, 더 심한 고장이 유발되는 것은 아니므로 한 번 시도해볼 가치는 있습니다. 교환작업 후에 아무런 이상없이 기능하는 것을 확인했을 때의 만족감. 그리고 점차 차량에 대해서 상식이 늘어난다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니까요.
기계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운전자라도 쉽게 할 수 있는 소모품 교환 작업 5가지를 정리합니다.
증 상 |
설 명 |
에어클리너 |
대개 엔진 오일을 교환할 때 에어클리너의 필터도 교환하는 것을 많이 보았을 것입니다. A/S에서 에어클리너 필터를 구입해 놓았다가 다음 번 엔진 오일 교환 시점에 본인이 직접 한 번 해보십시오. |
점화플러그 |
다소 작업에 요령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정 공구도 필요한 작업입니다만, 자기 차량에 필요한 공구만 준비되면 그렇게 어렵지 않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
보통 배터리가 장착된 선반을 '배터리 트레이'라고 합니다. 전선을 해체하고 연결하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므로 언급할 것이 못되고, 배터리 교환은 이 배터리 트레이 위에 제대로 안착시키기만 하면 됩니다. |
점화코일 |
요즘 차량에서는 예전의 배전기 보다는 이 점화코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편입니다. 가솔린 자동차에서는 대부분 2기통당 1개의 점화코일을 사용합니다. 만약 점화코일의 성능이 나쁘다면 4기통 중 2기통의 점화가 불안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공회전 상태에서 엔진의 불규칙한 회전이 일정한 패턴으로 인식된다면 우선적으로 점화코일의 고장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와이퍼 블레이드 |
이것은 운전자들이 직접 교환하는 것을 가장 많이 하는 항목입니다. 와이퍼 블레이드를 붙잡고 있는 부분만 어떻게 해체하고 다시 결합시키는 지를 알면, 이 교환작업은 정말로 손바닥 뒤집기만큼 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