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운전자는 배기파이프로 배기가스가 나오고 있는지조차 인식하지 못합니다. 배기가스 중에는 소량의 유해배출가스를 제외하면 대부분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기온이 높다면 수증기의 배출도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배기파이프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색깔을 띄어 운전자가 배기가스의 배출을 인식할 수 있다면, 무엇인가 엔진에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많은 것입니다. 특히, 연료 공급계나 오일 순환계에 문제가 발생했을 확률이 높은 것입니다.
  아래 표에 배기가스의 색깔로 추정해보는 고장 여부 판별 방법을 정리합니다.

엷은 흰색

엷은 흰색의 증기가 배기 파이프를 통하여 배출되고 있으나, 이 증기가 배기 파이프를 빠져 나오자마자 곧바로 사라져 버린다면 이것은 정상입니다. 여름과 같이 대기온이 높을 때에는 이마저도 보이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 엷은 흰색 증기는 수증기이며, 배기가스가 엔진에서 배출되어 외부로 빠져 나오면서 접촉하게 되는 배기 파이프 내면의 낮은 온도 때문에 약간의 응결이 일어난 것입니다.
겨울철과 같이 대기온과 배기파이프의 온도가 상당히 낮을 때에는 응결된 물이 배기 파이프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 나오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새 차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푸른 빛,
또는 회색

배기가스가 진한 푸른 빛이나 회색을 띄면서, 배기 파이프에서 대기 중으로 완전히 배출되었는데도 잘 없어지지 않고 한동안 그 색깔을 유지하는 경우는 엔진오일이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양이 많을 때 발생합니다.
엔진오일이 연소실 내부에서 일부 연소되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다량의 엔진오일이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일은 일부 엔진 부품의 고장이나 파손을 의미합니다. 피스톤 링의 과대마모, 밸브가이드나 밸브가이드씰의 파손, PCV시스템의 고장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연소실로 많은 양의 엔진 오일이 유입되는 일이 발생하면, 배기가스가 푸른 빛을 띄거나 회색으로 보입니다.다량의 엔진 오일 연소에 의해서 엔진오일의 양이 빠르게 감소하여 엔진오일의 교환주기가 빨라지기도 하지만, 엔진오일의 연소로 인해 2차적인 고장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엔진오일의 연소에 따른 점화플러그 카본 파울링은 점화플러그의 점화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시동 곤란도 유발합니다. 점화플러그 카본 파울링이 생기면 엔진 공회전시 매우 불안정한 엔진 작동 상태를 보입니다.
터보 엔진인 경우, 이런 색깔의 배기가스는 터보시스템의 고장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터보에서 큰 소음이 납니다. 이때는 즉각 정비업체에서 점검 및 수리를 받아야 합니다.

검정색

검정색 배기가스는 일반적으로 연료공급이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겨울철에 시동 직 후에 잠시 진한 색의 배기가스를 볼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정상입니다. 그러나, 엔진이 난기된 후에도 여전히 검정색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다면, 연료 공급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에어클리너의 여과지 막힘, 센서 고장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정비업체의 점검 및 수리를 받습니다.

진한 흰색

배기가스의 색깔이 진한 흰색으로 배기 파이프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 후에도 여전히 그 색깔을 유지한다면, 엔진에 심각한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엔진과열에 의한 엔진의 변형으로 인하여 엔진의 냉각수가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어 혼합기와 함께 연소될 경우에도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인젝터 고장에 의해 매우 과도한 연료가 공급되어도 진한 흰색의 배기가스가 배출됩니다. 일반적으로 연료공급량이 많을 때 배기가스 색깔이 검정색에 가까우나, 그보다 더 많은 연료가 공급되면 배기가스 색깔이 진한 흰색이 됩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