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한 번 더 강조하지만, 가솔린 엔진 전자 제어 시스템이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2가지 요소는 연료량과 점화 시기의 결정입니다. 점화 시기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 인자는 역시 엔진 회전수와 흡입 공기량입니다. 이 2가지 입력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기본 점화 시기가 결정되는 것은 연료량 제어에서와 유사합니다. 그런데, 연료량 제어에서도 엔진회전수와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량에 의해 결정되어진 기본 연료량만으로 실제로 분사될 연료량을 정하진 않고,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보정을 한다고 했었습니다. 점화 시기 제어에도 연료 소비율, 진동 및 소음, 승차감, 배출가스 특성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순간마다 최적의 점화 시기가 선정되도록 여러 가지 보정 기능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에 점화 시기의 보정 기능을 정리했습니다.

보정 기능

기능 설명

관계된 인자

기본
점화시기

주행 중

엔진 회전수(RPM)와 흡입 공기량에 따라 선정된 기본 점화시기로 ,노킹(Knocking)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최대 Torque를 얻을 수 있는 점화 시기

* 엔진 회전수
* 흡입 공기량

공회전

공회전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의 변동이나 차량 진동을 최소화하고 연비나 출력, 그리고 배기가스 측면을 고려한 점화시기

* 엔진 회전수
* 흡입 공기량

공회전 시 보정

공회전 상태에서는 엔진회전수의 목표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목표치 대비 엔진회전수 변동이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변동할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점화시기를 진각 혹은 지각 시킵니다.

* 엔진 회전수 변동량
* 냉각 수온

흡기온과
냉각수온
보정

흡입 공기의 온도가 높거나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지면 노킹 발생 가능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열 유발 상황에서는 노킹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점화시기를 지연시키는 보정을 행합니다.

* 엔진 회전수
* 흡입 공기량
* 냉각 수온
* 흡기온

가속 시
차량 진동 보정

가속 시에는 엔진 Torque가 급격하게 변동하므로, 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차체에서 급격한 토오크 변동을 흡수하지 못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진동은 운전자에게 불안감과 승차감 저하를 야기시키므로, 차량 진동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어 점화시기의 보정을 수행합니다.

* 엔진 회전수
* 흡입 공기량
* 크랭크축 회전 시간 변동량

급가속 시
보정

급가속시 발생되는 노킹을 방지하기 위한 점화시기 지각 보정

* 엔진 회전수
* 흡입 공기량
* 흡기온
* 쓰로틀밸브 열림 속도

노킹 보정

Knock sensor로부터의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토대로 노킹 발생 여부를 판별하여 노킹 발생을 회피하는 기능을 하도록 보정

* 엔진 회전수
* 흡입 공기량
* 냉각 수온
* Knock sensor 신호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