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동차 교실

동력
전달장치

변속기
(Transmission)

변속기는 엔진의 회전속도와 바퀴의 회전속도의 비율을 조절하는 장치로, 차량의 속도나 주행조건에 관계없이, 엔진이 적절한 운전영역내에서 가동될 수 있게 해 준다. 차량의 속도를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힘을 엔진이 낼 수 있도록, 엔진의 회전속도와 차량의 속도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수동변속기의 경우는 운전자가 적절한 기어단을 선택함으로써 이것이 가능하고, 자동변속기의 경우는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해 적절한 기어단이 선정된다.

보통 수동변속기가 자동변속기에 비해 효율이 좋지만 자동변속기의 발전에 따라 그 차이는 좁혀지고 있다.

드라이브샤프트
(Drive Shaft)

드라이브샤프트는, 차량의 엔진은 전방에 있고 굴림바퀴는 후방에 있는 소위 FR구동방식에 있어, 변속기의 출력축과 차동장치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용 축을 말한다.

차동장치
(Differential)

차동장치는 크게 3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차동장치는 엔진에서부터 전달된 회전에너지를 직각으로 꺾어 바퀴로 전달한다.

둘째, 차동장치는 좌,우측의 바퀴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차량이 커브길을 주행할 때, 커브길의 바깥쪽을 주행하는 바퀴는 안쪽을 주행하는 바퀴보다 빨리 회전할 수 있어야 차량이 커브길을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차동장치는 동일한 엔진과 변속기를 사용한 경우에도 적절한 기어비를 사용함으로써 바퀴에 전달되는 토오크를, 차량에 따라 다르게 변화 시킬 수 있다.

완충장치
(Suspension)

완충장치는 차량의 바퀴와 차체를 연결한 기계적 결합체를 말한다. 완충장치의 기본 목적은 바퀴의 상하운동, 즉 바퀴의 지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운동이 차체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나 쇼크옵서버(Shock Absorber)로 구성되어 있고, 보통 앞바퀴쪽에 차량중량이 더 많이 실리므로 앞바퀴쪽 완충장치의 스프링계수가 더 크다.

제동장치
(Brake)

제동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차량을 멈추게 하는 장치이다. 드럼(Drum)형식과 디스크(Disk)형식이 있는데 요즘에는 디스크형식이 많이 사용된다. 디스크형식은, 바퀴와 같이 회전하는 디스크를,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패드를 이용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제동 시키는 것을 말한다.

조향장치
(Steering)

조향장치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장치로,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장치 중의 하나이다. 핸들을 돌림으로써, 차량의 전면방향에 대한 바퀴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핸들을 놓으면 차량이 전면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복귀력이 있게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복귀력 때문에 핸들을 조작할 때 힘이 든다. 요즘에는 유압을 이용하여 핸들조작이 간편하게끔 되어 있으며,전기모터를 이용한 조향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