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화시스템의 구성


   실제의 엔진에서 점화(Ignition)는 점화플러그의 전극 사이에서 일어납니다. 점화 플러그의 전극 사이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전기 방전을 일으키는 점화시스템의 목적은 혼합기의 연소에 충분한 고전압을 정확한 시점에 발생시키는 데에 있습니다. 점화시스템은 초기의 기계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발전을 거듭한 끝에 현재에는 전자식으로까지 발전되었습니다.
   그러나, 시스템이 어떤 형식이든지 점화시스템은 아래의 표와 같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원공급장치

전압공급장치는 배터리입니다. 시동시에는 전압은 직접 배터리에서 공급되며, 엔진이 작동하는 도중에는 알터네이터(Alternator)에서 전압을 발전하여 배터리로 공급합니다.
                         <Alternator>

점화코일

점화코일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2~14Vf로 방전에 필요한 30KV 이상의 고전압까지 승압하는 기능을 합니다. 점화코일 내부에는 1차권선과 2차권선이 있는데, 전류가 1차 권선을 통하면서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고,제어기에서 점화시점에 회로를 단락시키면, 이 자기장이 파괴되면서 2차권선에 고전압을 유도합니다.
배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DLI(Distributor-Less Ignition)에서는 ECU의 직접 제어를 받는 점화코일이 점화플러그에 근접하여 설치됩니다.

배전 기능

발생된 고전압을 각 기통에 분배하는 장치입니다. 각 기통으로 고전압을 배분하는 장치가 캠축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배전기(Distributor)타입이고, 이 배분 기능을 ECU가 직접하는 것이 DLI 타입입니다.
                        <Distributor>

하이텐션코드

고전압을 점화플러그까지 전달하는 선을 말합니다. 점화플러그로 고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높은 저항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점화플러그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데에 필요한 전기불꽃 방전을 일으키는 특정한 간극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