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일찍부터 부지런히 출근 준비를 하고, 오늘은 조금 더 낫겠지 하는 기도 아닌 기도를 하면서 차량의 시동을 겁니다. 시동을 걸고나서 바쁜 마음에 부지런히 도로로 나서면 오늘도 쉽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에 조금은 답답한 마음입니다. 그래도 신호등에 걸리지 않으려고 가속페달을 밟아보지만 그저 속절없는 노릇입니다. 오늘도 그렇게 가다서다를 반복하며 갈 것입니다. 희망이 없는 도로정체는 은근히 혈압을 높이는군요. " 위 글은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아침 일상일 것입니다. 매일 비슷한 시간대에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정체도로의 주행은 피할 수 없습니다. 이런 정체주행은 알게 모르게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킵니다. 급가속과 제동의 반복, 낮은 엔진회전수, 공회전 대기시간의 연장... 이런 Go-Stop 주행패턴의 특징은 엔진과 브레이크, 그리고 배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킵니다. 엔진도 환기가 원활해야 수명이 오래 갑니다. 엔진의 환기란 엔진오일의 증기(Oil Mist)가 원활하게 엔진으로 흡입되고 대신에 신선한 공기가 엔진오일의 통로에 공급되는 것을 말합니다. 엔진오일이 엔진을 순환하다보면 오일증기가 발생되는데, 법규적으로 이런 오일증기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 안됩니다. 따라서 발생된 오일증기는 엔진의 연소실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연료와 함께 연소됩니다. 이때 오일증기가 빠져 나온 공간은 신선한 공기가 채우게 되어 있는 것이 현재의 엔진입니다. 그런데, 엔진이 공회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런 엔진의 환기가 가장 열악할 때입니다. 따라서, 엔진에서 공회전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연소실에서는 오일증기의 연소가 많아지고 또 연소가 불안정해져서 카본의 생성의 많아집니다. 이렇게 생성된 카본은 연소실을 덮어서 점화플러그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흡입통로에 쌓여서 연료의 공급을 방해합니다. 그래서, 흡기계와 연소실을 대체로 1년에 1번 정도 세척하는 것을 권장하는 것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공회전조절장치의 통로가 폐쇄되어 시동이 꺼지기도 하며, 인젝터가 막혀서 연료의 분사가 지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연소실 내부에 카본의 축적이 많아지면 노킹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또, 딱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지경까지 가게 되면 당연히 연료의 소모도 많아집니다. 한편, Go-Stop 패턴은 열악한 운전조건에 속합니다. 따라서,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를 짧게 가져가야 합니다. 자신의 주요 주행조건이 Go-Stop이 반복되거나 짧은 거리 주행의 반복이라면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를 짧게 해야 합니다. 또한, 브레이크의 사용이 빈번해지므로 브레이크의 점검도 자주 해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