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압력을 가지고 있는 밀폐 공간을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거기에다가 밀폐공간을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가 움직인다면, 높은 압력이 새나지 않게 하는 것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자동차 엔진에서 정상적인 엔진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바로 그런 기술이 필요합니다. 자동차 엔진의 출력은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높은 압력의 기계적 에너지를 회전운동 에너지로 변환한 결과물입니다. 따라서, 연료의 연소로부터 발생된 높은 압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연소실의 기밀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연소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스톤은 왕복운동을 해야 하는 부품입니다. 높은 압력의 기계적 에너지가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거쳐서 회전운동으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피스톤과 실린더블럭 사이에서는 미끄럼운동이 일어남과 동시에 최대한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마모로 인해 피스톤과 실린더블럭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면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서 피스톤의 왕복운동 중에 피스톤과 실린더블럭 사이를 통과하여 연소실의 연소가스가 엔진의 아랫 쪽인 오일팬으로 새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일팬으로 새나오는 연소가스를 블로우바이(Blow-by) 가스라고 합니다. 블로우바이 가스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연소실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며 따라서 엔진의 출력이 감소하고, 연료의 소모도 많아집니다. 또, 블로우바이 가스가 많이 새나올 만큼 피스톤과 실린더블럭 사이의 간극이 넓어졌다는 것은 실린더블럭 벽면의 엔진오일이 연소실 내부에 남게 되는 양도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과적으로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되는 엔진오일의 양도 많아집니다. 한편, 블로우바이 가스가 많다는 것은 연소실 내부의 압력이 오일팬으로 일부 전달되는 것이므로, 오일팬의 압력도 높아져서 엔진오일이 흡기관쪽으로 흘러나가는 양이 많아지게 됩니다. 흡기관으로 흘러나간 엔진오일은 다시 연소실에 흡입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연소실에서 연소되게 됩니다. 따라서, 엔진오일의 소모가 많게 됩니다. 또, 흡기관으로 흘러나간 엔진오일은 흡기계 카본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흡기계에 있는 밸브류의 작동을 방해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