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야간 운전을 할라치면 두려움이 앞설 때가 많습니다. 몇 년 사이에 고광도의 헤드라이트를 장착한 차량들이 많아져서, 야간 운전 시 마주 오는 차량이나 뒤에 따라 오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눈이 부시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1996년 유럽의 차량들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는 점차 그 적용 차종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HID램프는 기존의 램프와 달리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전기 방전으로 제논가스를 이온화하여 거기에서 발생하는 불빛을 이용합니다. 이것은 할로겐램프에 비해서 2배의 고강도 불빛을 내놓고, 색깔은 푸른 빛이 도는 흰색(Blue-White)입니다. 그래서 노란색을 띄는 기존의 램프와 비교됩니다. 고광도 램프인 관계로 이 HID램프를 사용하는 측은 불만이 없지만, 이 램프의 불빛을 받는 쪽에서는 불만이 많습니다. 미국에서는 관련 법규의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램프의 특성과는 별도로, 근래에 SUV의 판매가 많아졌는데 이 SUV의 헤드라이트 장착 위치가 일반 승용차의 장착 위치 보다 20cm 이상 더 높아서, SUV 앞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뒤에 따라 오는 SUV의 불빛이 룸미러에 반사되어 눈이 부시게 되는 것에 매우 신경이 곤두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야간 운전이 많이 부담스러워 진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HID램프의 렌즈가 더러운 경우에는 HID램프에서 조사되는 고광도의 불빛이 난반사를 일으켜서 눈부심이 더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HID램프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에는 헤드라이트의 렌즈 청결에 보다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신은 HID램프 덕분에 더 잘 보여서 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마주 오는 차량이나 앞에 가는 차량의 사고는 자신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야간 운전시 마주 오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때문에 눈부심이 있다면, 운전자는 시선을 오른쪽 아래(도로 위 오른 쪽 차선 표시를 볼 수 있게)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빛에 민감한 눈 부분이 직접적으로 빛에 조사되기 않아서 눈부심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시를 통하여 주위의 교통 상황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눈부심을 개선하려면 AR(Anti-Reflective) 코팅된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