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T 가 머죠? |
우리말로 "무단변속기"라고 하는데, 보통의 미션과 달리 1단 2단 .. 이라는 기어단수가 없습니다. 대신 이론적으로 무한 변속이 가능한 미션입니다 원어는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왜 CVT가 연비가 좋을까 ? |
먼저, 수동이 자동보다 연비가 좋은 이유를 알아보면 - 수동이 기어 변속단수가 자동보다 많다. 따라서 수동은 연비나 성능이 좋은 포인트에서 엔진을 좀더 많이 동작시킬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 자동은 엔진에서 미션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10~15%정도가 토크 컨버터에서 손실된다(수동은 이런 손실이 없죠). |
- CVT는 엔진에 가장 적합한 회전속도로 변속이 된다. 다시말해 CVT는 엔진을 항상 최적 운전상태로 유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이 10~20% 정도 높아진다. - 단 시간내에 최적 감속비로 변경이 가능하다 - 변속할 때 정상 운전영역 밖으로 나가는 시간이 거의 없다 |
CVT 원리는 ? |
간단히 말해서 직경이 다른 풀리(Pully) 두 개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각 풀리는 벨트가 걸리는 지름이 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
왼쪽 그림에 두 개의 풀리가 보이는데 각각의 지름이 다르죠. 하나를 엔진쪽, 하나를 바퀴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혹, 예전에 중학교 기술시간에 오토바이의 원심 변속기를 배운 분들은 기억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너무 오래되었나 ?)
기어없는 오토바이는 원심변속기가 자동으로 감속비를 조정하는데, 그것과 비슷한 원리죠 |
각 풀리를 잘라 보면 아래처럼 움직이는 두 개의 원판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 원판들을 밀면 지름이 커지고, 반대로 하면 지름이 작아집니다. 분홍색으로 그려진게 벨트입니다. 이런 구조를 가진 풀리의 원판 간격을 조정하므로서 벨트가 걸리는 지름을 변화시키고, 지름의 변화를 이용해서 변속을 하는 거죠. 또 이런 구조로 감속비의 제한이 없는 무단(무한)변속이 되는 겁니다. |
|
|
CVT의 장단점 |
장점 |
단점 |
- 연비가 좋다 - 변속시 충격, 진동, 소음이 적다 - 광대역 감속이 가능하므로 등판, 추월성능이 좋다 |
- 동력 전달이 벹트로 이루어 지므로 소형엔진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현재 기술수준 하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