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믹서 (2)

전 회에서 피드백 믹서(Feed-back Mixer)의 구성 부품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번 회에서는 피드백 믹서의 구성 부품들 중에서 피드백 솔레노이드 밸브(Feed-back Solenoid Valve), 드로틀 포지션 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그리고 오토 초크(Auto-Choke)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봅니다.

◆ 피드백 솔레노이드 밸브

  • 피드백 솔레노이드 밸브는 보조연료통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는 밸브로, 전자제어 유니트(Electronic Control Unit)의 신호에 의해서 On-Off로 제어 된다.
  • Valve On : 연료통로가 열려 연료가 공급되므로 공연비가 농후하게 된다.
  • Valve Off : 연료 통로가 닫혀 연료공급이 차단되므로 공연비가 희박하게 된다.

이때, 통상의 피드백 솔레노이드 밸브는 On-Off가 Duty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되는데. Duty 제어방식이란,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동일 주기내에서 On,Off를 반복하는 형태로, On-Off의 한 사이클 내에서 On, 또는 Off의 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다. 통상 2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Duty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Duty의 정의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따라서 On Duty방식의 경우 Duty 0%에서는 연료의 공급이 차단되고, Duty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연료가 공급되게 된다. 반대로 Off Duty방식일 경우에는 Duty 100%에서 연료의 공급이 차단된다.

 ◆ 드로틀 포지션 센서(통상 T.P.S라고 한다.)

T.P.S.는 드로틀밸브의 축에 연결되어,드로틀 밸브가 열리는 정도를 전압으로 바꾸어서 엔진제어 유니트로 신호를 보내는 부품이다. 대개 0.5 V ~ 5 V 사이의 신호를 내보낸다. 즉, 운전자가 액셀레이터를 밟지 않아서 드로틀밸브가 닫혀 있을 때는 약 0.5 V의 신호를 내보내고, 액셀레이터를 끝까지 밟아서 드로틀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경우에는 약 4~4.5 V의 신호를 내보낸다.
    엔진제어 유니트는 이 T.P.S.의 신호레벨로 엔진에 요구되는 부하를 판단하여, 거기에 알맞은 연료량과 점화진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 오토 초크

엔진의 온도가 낮으면, 엔진 내부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원활한 회전이 힘들고, 또한 연소도 불안정하다. 이 때문에 겨울철과 같이 낮은 외기온도 환경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 엔진이 난기 되었을 때의 공회전 속도보다 더 큰 엔진회전수로 엔진을 작동시키는데, 이때에는 더 많은 연료량과 공기량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드로틀밸브는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ISC라는 공회전속도 조절기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드로틀밸브를 더 열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온도에 따라 부피팽창도가 다른 왁스(Wax)를 사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드로틀밸브를 강제로 여는 기구를 장착하고 있는데, 이를 오토 초크라고 한다.
    시동시에는 많은 공기량이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드로틀밸브를 열지만, 엔진이 난기 되기 시작하면 점차 드로틀 밸브를 닫는다.  대체로 엔진의 냉각수온이 섭씨 55도정도가 되면 오토초크의 역할은 완료된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