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 자기 차량의 엔진룸에 어느 정도 익숙한 운전자들이 간단하게 점검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1. |
우선 조금 여유있는 시간에, 약간은 한적한 도로에서 운전을 하면서 차량에 이상한 점은 없는지 살펴봅니다. |
2. |
차량을 안전한 곳에 정차하고 호스류나 벨트류를 점검합니다. |
3. |
엔진오일,변속기오일,파워스티어링오일 등 오일량과 색깔을 점검합니다. |
4. |
엔진에 연결되어 있는 가느다란 고무호스는 대개 Vacuum호스입니다. Vacuum호스에 미세한 균열은 없는지 살펴봅니다. |
5. |
눈에 보이는 전선연결부(커넥터)의 결합상태를 확인합니다. |
6. |
배터리의 와이어 연결부를 깨끗이 청소하고 배터리상태창의 색깔을 확인합니다. |
7. |
차량의 가속감이 좋지 않을 때는 스파크플러그의 전극간격을 확인합니다. (이 작업에는 플러그 분해용 전용공구가 필요하며,플러그와 하이텐션코드를 해체할 때하이텐션코드가 파손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8. |
하이텐션코드의 외피가 많이 딱딱해졌거나 균열이 보이면 하이텐션코드를 교환합니다. |
9. |
배전기가 있는 차량의 경우에는 배전기의 뚜껑을 열고(물론 이때는 시동을 꺼야 합니다.) 내부에 이물질이나 하얗게 또는 까맣게 오염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청소해줍니다. |
10. |
에어클리너 여과지의 오염정도를 확인합니다. 사실 이 여과지는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 동시에 교환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파손된 부위가 없으면 압축공기로 불어내어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1. |
액셀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드로틀 바디에서 입구쪽 고무호스를 해체하여 드로틀바디 내부의 카본축적정도를 확인합니다. 카본이 많이 축적되어 있으면 세정제로 세척합니다. 공회전시 엔진회전수의 변동이 많은 경우, 세척작업은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매 1만Km주행시 세척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12. |
드로틀바디나 흡기파이프 내에서 액체상태의 오일이 보이면,PCV밸브를 확인합니다. 이 PCV밸브는 엔진헤드커버에서 흡기계(드로틀밸브 하류측)로 연결된 고무호스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13. |
흡기파이프 내에서 많은 양의 오일이 발견되면 정비업소에서 점검을 받습니다. |
14. |
차량을 가볍게 주행하여 점검결과를 확인합니다. 점검으로 개선되지 않은 고장사항은 전문 정비업소에서 점검 받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