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Y를 아십니까? Do It Yourself를 줄인 말로 자동차의 정비 사항 중 간단한 것을 운전자가 직접 하는 것을 말합니다. DIY가 보편화 되어 있는 자동차 선진국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제반 여건이 DIY를 본격적으로 하기에는 문제가 많지만, 우리나라 사정에서도 DIY가 가능 한 부품들도 몇 가지 있습니다. 방향지시등이나 차폭등의 전구 교환, 에어클리너 필터 교환, 점화플러그의 교환 등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이들 작업이 차종에 따라서는 운전자가 할 수 없을 만큼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작업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관심만 가지면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주의사항들은 잘 지켜야죠.
   점화플러그는 소모품으로 엔진 부품 중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품입니다. 점화플러그를 직접 교환하려면, 우선 볼트를 푸는 십자 드라이버와 점화플러그용 공구 등 작업에 필요한 공구들을 준비하고, 또 정확한 규격의 교환용 점화플러그를 준비합니다. 정확한 규격은 점화플러그의 열가, 외부 치수,전극 간극 등의 수치가 원래의 것과 동일한 것을 의미합니다. 차량에 따라서는 볼트를 푸는 데에도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점화플러그 교환작업을 하실 때에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엔진이 아직 뜨거운 상태에서는 작업을 하지 말고, 엔진이 식은 다음에 작업을 합니다.

엔진이 아직 뜨거울 때 작업을 하게 되면, 점화플러그와 실린더헤드의 접촉부인 나사부분의 강성이 약하여 점화플러그 분리시에 실린더헤드에 나 있는 나사산이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나사산이 손상되면 엔진헤드를 교환해야 하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실린더 헤드에 있는 점화플러그용 홈에 오물이나 모래 등이 있으면 제거합니다.

실린더헤드에 있는 점화플러그용 홈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래 등 이물질이 점화플러그 주변에 많이 퇴적되어 있습니다. 부주의로 이런 이물질이 점화플러그를 교환할 때 연소실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실린더 벽면에 손상을 입힐 수가 있습니다.

점화플러그의 소켙부와 결합되어 있는 코드를 분리할 때에, 코드만 잡아 당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점화플러그와 결합되어 있는 코드를 분리할 때, 작업을 쉽게 한다고 코드만 잡고 잡아 당기면, 많은 경우 코드의 연결부위가 손상됩니다. 점화플러그 교환하려다 하이텐션코드까지 망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합니다.

점화플러그 가스켙을 확인하고,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결합하지 않도록 합니다.

점화플러그를 엔진에 결합할 때, 점화플러그의 가스켙이 헤드와의 접촉면을 밀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적당한 힘으로 결합시키면 이 가스켙이 헤드 접촉면의 굴곡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되어 밀착되게 됩니다. 이 가스켙이 없으면 연소실의 기밀유지가 힘들 뿐만 아니라, 점화플러그가 연소실 내로 돌출되어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결합시킬 때 너무 무리한 힘을 가하여 실린더헤드의 나사산이 손상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