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고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기 차량에서 고장이력이 많은 것들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에서도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부품들에 대해서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미국의 정비협회에 따르면, 주행하고 있는 차량들의 80%는 아래에 열거하는 12가지 부품들 중 한 가지는 정비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들 부품들은 대부분이 소모품으로 일정 거리를 주행하고 나면 교환해야 하는 것들인데, 주행거리가 늘어날수록 운전자의 관심도 떨어져서 웬만하면 그냥 다니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여러분의 차량은 어떻습니까?

브레이크의 마모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됩니다. 또한 브레이크는 작은 고장이라도 제 때에 수리하지 않으면 계속 수리 필요 부위가 확대되어 나중에는 위험할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됩니다.

와이퍼 고무

와이퍼가 유리창을 닦아도 깨끗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할 때, 빗길 주행을 해보셨습니까? 앞이 잘 보이지 않는 것! 그것은 공포입니다.

각종 램프류

헤드라이트,브레이크등,방향지시등의 정상적인 작동은 안전운전의 기본입니다. 가끔 고속도로에서 외눈박이를 목격할 때가 있는데,정작 본인은 아무렇지도 않을지 모르지만,룸미러를 통해서 비춰지는 외눈박이는 무섭습니다.

필터류

연료필터,공기필터,오일필터... 공기필터와 오일필터는 오일을 교환할 때 대부분 동시에 교환하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곳 저곳 서로 다른 많은 주유소를 옮겨 다니며 주유하는 경우에는 연료필터도 신경쓰십시오. 출력,연비 다 악화될 수 있습니다.

점화플러그

연소실에서 혼합기를 태우려면 점화를 시켜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점화플러그입니다. 점화플러그를 일정 주행거리마다 교환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분들이 너무 많아 놀랐습니다. 여성운전자 분들 특히 확인하세요.
이것을 교환하지 않고 그대로 운전하고 다니면 어느 날부터 액셀페달을 밟아도 가속이 안되고 연료소비가 많아질 것입니다.

배터리 케이블 부식

배터리케이블 부식이 심해지면 시동불량의 가능성이 커집니다.

벨트

벨트의 일부분에 손상이 있으면 곧바로 손상이 전체 벨트로 확산됩니다. 벨트가 느슨하거나 끊어지면, 엔진냉각,충전,파워핸들,에어컨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합니다.

냉각수

냉각수를 2년에 한 번 정도는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사용하면 라디에이터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많은 수리비를 요구합니다.

완충기

소형차들이 가장 무시하고 주행하는 것이 아마도 이 완충기의 고장일 것입니다. 텅텅거리는 이음과 충격에 의한 진동이 심해집니다.

고무호스류

새 차를 2년정도 주행하면 본네트를 올리고 엔진 룸에 있는 고무 호스류를 살펴보십시오. 여기저기 찢어져 있거나 금이 가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이것 때문에 엔진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머플러

차량이 주행하면 항상 물이 생기기 때문에 머플러는 기본적으로 부식될 가능성이 많은 부품입니다. '펑펑펑' 울리는 큰소리가 차량 뒤쪽에서 나거든 머플러를 확인하세요.

타이어

중속 이상으로 주행할 때 핸들에서 진동이 느껴지면, 좌,우측 타이어가 서로 다르게 마모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차량이 한 쪽으로 쏠려도 우선적으로 타이어의 마모상태를 살피세요.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