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퍼 |
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 와이퍼는 힘든 일을 많이 했습니다. 비가 오는 여름철과 달리 눈이 오면 염화칼슘이나 모래가 앞 유리창에 달라 붙는 경우가 많아 그만큼 와이퍼의 고무가 손상을 받았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한 추운 날씨의 낮은 기온은 와이퍼의 고무를 딱딱하게 변성시켰을 수도 있습니다. |
엔진 룸의 공기흡입구 |
엔진룸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차량 앞면의 라디에이터 그릴과 앞 범퍼 하단부의 구멍 등이 막혀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십시오.겨울철에 주행하다보면 눈에 섞여 있던 여러 가지 불순물들이 차량 전면부에 많이 달라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들 공기통로가 막혀 있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라디에이터에 불순물이 덮여 있으면 엔진의 적절한 냉각이 곤란할 수도 있습니다. |
냉각계 |
기온이 올라가면 엔진의 입장에서는 엔진 과열이 될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그만큼 더 냉각계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때입니다. 냉각수의 양은 적당한지, 냉각수는 보통 2년마다 교환하는 것이 좋은데 냉각수를 교환할 필요는 없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
고무벨트나 호스류 |
기온이 낮았던 겨울철은 고무로 만들어진 부품에게는 손상의 가능성이 큰 계절입니다. 고무류 제품인 벨트나 호스류에 틈새가 생기거나 손상이 가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엔진 흡입공기의 통로는 손으로 직접 눌러 보면서, 가는 틈새(Crack)가 생기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브레이크 |
겨울철에는 아무래도 도로가 젖어 있거나 도로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로 위에 제설제로 사용되었던 염화칼슘이나 모래도 많이 있습니다. 겨울철에 주행을 하다보면 이런 것들이 브레이크시스템에 접촉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브레이크 구성 부품이 이상 마모나 부식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에어컨 |
이제 여름철이 되면 모두 다 에어컨을 작동시킵니다. 막상 에어컨을 작동했는데 바람이 나오지 않거나, 시원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은 기간동안 빠져 나간 냉매량이 많았으면 냉매량을 보충해야 합니다. 정작 여름이 닥쳐서 수리하는 것보다는 봄철에 미리 확니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날씨가 많이 따뜻해졌습니다. 눈도 많이 왔던 지난 겨울은 자동차에도 많은 흔적을 남겼을 것입니다. 자동차의 사용온도 조건이 달라지기 시작하는 봄을 맞아 한 번쯤은 여러분의 자동차를 둘러보시기를 권합니다. 여러분의 차량은 태양의 계절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 간단하게 다음 사항들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