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차의 골치거리 역화로 부터 안전하려면?
   LPG차량에서 역화Back-Fire)가 발생하는 것은 연료의 공급과 점화시기가 부적절할 때이며, 따라서 역화의 발생으로부터 안전하려면 연료의 공급과 점화계에 관련이 있는 부품들이 항상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이런 부품들의 관리 요령을 알아봅니다.

부  품

구 분

관리 내용

베이퍼라이저

공회전 상태

베이퍼라이저에서 믹서로 공급되는 연료량의 많고 적음을 아무런 측정 장비를 가지지 못한 일반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알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연료공급량이 불안해지면 공회전 상태에서의 엔진거동도 불안해집니다. 따라서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변동할 때,예를 들어 헤드램프를 켠다든지,에어컨을 작동시킬 때 엔진회전수의 변동이 많거나 일정회전수를 유지하지 못할 때는, 일단은 베이퍼라이저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타르 제거

타르의 발생은 LPG자동차에서 피할 수 없는 문제점입니다. 베이퍼라이저에 생기는 타르를 제거하지 않으면 베이퍼라이저 내부의 통로를 막거나 다이아프람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므로 베이퍼라이저의 연료공급기능에 이상이 발생합니다.

점화플러그

간극

점화플러그의 간극이 넓어지면 역화의 발생가능성이 급격하게 높아집니다. 그래서 간극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부 LPG전용자동차에서 백금점화플러그를 사용하는 예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플러그가 장착된 차량을 임의로 백금플러그로 교환장착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점화플러그의 교환주기를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배전기

간극

배전기의 내부를 보면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분과 캠축에 연동되어 있는 회전부분이 있습니다. 회전부분이 회전하면서 각 기통으로 고전압을 배분하게 되는데, 이때 접촉하는 부분은 고전압의 영향으로 마모되게 됩니다. 그러므로 배전기 내부의 상태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버의 기밀성

배전기의 커버가 기밀이 유지되지 않으면 고전압이 외부로 누설되기도 하고, 또 습기가 배전기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를 부식시킵니다.

하이텐션코드

배선

하이텐션코드는 기본적으로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피복되어 있으나,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피복이 딱딱하게 경화되고 고전압을 외부로 누설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교환 주기를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