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 오일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것은 운전자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나, 교환주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모두들 자신있게 말하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엔진이 무리할 정도로 운전하지 않았다면 보통 5000km~10000km정도의 주행거리에서 엔진 오일을 교환해야 한다", "10000km넘어도 괜찮다고 하더라", "5000km면 무조건 교환해야 한다" 등 많은 말들이 설왕설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장 많이 접하는 사항이지만 정확하게 알지 못하여 여러 가지 속설이 있는 엔진 오일의 교환에 대해 알아봅니다.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주행을 하였으므로, 교환주기를 길게 가져가도 된다. |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았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맞는 말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어떤 운전이 엔진에 무리를 주는 운전인가?하는 점일 것입니다. 엔진에 무리를 주는 운전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정체길에서 하게 되는 Stop & Go운전, 시동을 걸고나서 조금만 운전하고 곧바로 시동을 끄게 되는 단거리 반복 운전, 외기온이 높거나 낮을 때의 운전, 그리고 먼지가 많은 지역이나 도로의 운전 등이 해당됩니다. 이런 조건의 운전은 엔진의 작동 온도를 높이거나 엔진오일이 세척해야 하는 불순물이 많아지는 상황을 만듭니다. 즉 엔진오일의 성능을 저하하게 만드는 조건이 됩니다. |
합성유를 사용하면 교환주기를 길게 해도 좋다. |
물론 합성유의 성능은 우수합니다. 그러나 합성유도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합성유에 첨가되어 있는 첨가제가 사용기간이 지남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하므로 교환해야 합니다. 교환주기의 설정방법은 보통 오일과 동일합니다. |
오일필터를 교환하면 오일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
오일필터는 오일 내부에 섞여 있는 큰 크기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오일필터가 엔진오일의 성능을 회복시키거나 성능을 향상시키지는 않습니다. |
엔진에 무리를 주는 조건에서 운전을 하였다면 사용자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교환주기보다 더 빨리 엔진 오일을 교환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엔진 오일을 남들에 비해 자주 교환한다고 해도 엔진오일의 교환비용은 엔진 가격에 비하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