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

액셀을 갑자기 많이 밟았을때 엔진회전수가 올라가고 그로인해서
차속도가 증가하는 건 이미 말씀드린 대로 정상적인 운전입니다.
따라서 그것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제가 이해가 안되는건, 지난번에 말씀하신 대로
액셀을 밟아도 차속도가 80킬로에서 더이상 증가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도움이 되려면 몇가지 더 알아야 합니다
- 액셀을 밟아도 차속도가 증가하지 않을 때
= 경사로 주행중 입니까 ?
= 차속도는 증가하지 않지만 엔진 회전수는 올라갑니까 ?
= 계기판에 있는 엔진체크 경고등 또는 O/D off 또는 HOLD 램프가 켜져 있거나
깜박이지 않습니까 ?
등입니다.
이 내용과 제가 위에 적어 놓은 질문에 대해 알려 주시면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이용수 wrote:
>죄송합니다만 기계에는 꽝이라서
>질문에 답변을 해드릴수가 없군요
>오토크루즈(자동 정속운전장치)는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앞에 설명하신 KICK_DOWN 현상이 맞는것 같습니다만
>조치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
>웹지기 wrote:
>>그럴리는 없겠지만, 혹시 엔진룸을 열고
>>트로틀 보디 옆에 있는 액셀 케이블을 점검해 보시죠.
>>드문 일이고 그럴리는 정말 없겠지만, 액셀케이블이 놀지 않는지
>>점검해 보세요.
>>혹시, 오토크루즈(자동 정속운전장치)는 장착하지 않으셨죠 ?
>>국내엔 거의 시판되지 않으니까 장착되어 있지는 않겠지만 혹시나 해서
>>여쭤봅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
죄송합니다만 기계에는 꽝이라서
질문에 답변을 해드릴수가 없군요
오토크루즈(자동 정속운전장치)는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앞에 설명하신 KICK_DOWN 현상이 맞는것 같습니다만
조치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웹지기 wrote:
>그럴리는 없겠지만, 혹시 엔진룸을 열고
>트로틀 보디 옆에 있는 액셀 케이블을 점검해 보시죠.
>드문 일이고 그럴리는 정말 없겠지만, 액셀케이블이 놀지 않는지
>점검해 보세요.
>혹시, 오토크루즈(자동 정속운전장치)는 장착하지 않으셨죠 ?
>국내엔 거의 시판되지 않으니까 장착되어 있지는 않겠지만 혹시나 해서
>여쭤봅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
그럴리는 없겠지만, 혹시 엔진룸을 열고
트로틀 보디 옆에 있는 액셀 케이블을 점검해 보시죠.
드문 일이고 그럴리는 정말 없겠지만, 액셀케이블이 놀지 않는지
점검해 보세요.
혹시, 오토크루즈(자동 정속운전장치)는 장착하지 않으셨죠 ?
국내엔 거의 시판되지 않으니까 장착되어 있지는 않겠지만 혹시나 해서
여쭤봅니다.


이용수 wrote:
>이용수 wrote:
>>안녕하십니까?
>>가끔 들어와서 좋은 정보 퍼가지고 갑니다
>>감사드리고요
>>자동 변속기를 운전하고 있습니다.
>>1. 맨처음 시동을 켜면 1500 rpm정도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시동을 켜자 마자 서서히
>>자동으로 움직이는 만큼의 속도로 진행을 하다가 RPM이 1000정도 부근이 되면
>>엑셀레이터를 밟아서 진행합니다 괜찮은지요?
>>2. 시내 주행을 하다보면 신호대기가 많습니다. 이때
>>기어를 "N"에 놓는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그대로 "D"에 놓고 있는것이
>>좋을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자동차는 정말 마음에 드는데 한가지 이상한것이 있습니다.
>고속도로 주행시 시속 80Km정도로 계속 주행을 하다보면 엑셀레이터를
>더 많이 밟아도 속도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어떤때는 끝까지 밟아도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rpm도 올라가지 않아요 그러다가 어느한계(잘은 모르지만 밟고
>있었던 시간?, 밟았다 띄었다를 여러번 반복하면?)이 지나면 부~우앙하고는
>순식간에 rpm이 4-5000까지 올라갑니다.(시속 80Km 정도면 rpm이 2000정도
>입니다. 그리고는 130-140까지 속도가 올라갑니다.
>그래서 요즘은 80Km 부근에서 아주 조심을 하고는 하지요
>주변 사람들은 엔진에 이상이 있다고 하고 카센타에 가면 현상을 이해하지
>못해요 그렇다고 직접 주행해보라고 하기도 어렵고...
>


Posted by 카즈앤미
,
자주 오신다니, 감사드립니다.
음, 먼저 1번 질문에 대해서는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다만, 요즘 차는 시동걸고 2~3분 내 출발해도 별로 엔진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점은
익히 알고 계시겠죠. 그러니까 시동후 잠시 뒤 출발해도 됩니다.
겨울엔 조금 기다려 주는게 좋습니다. 아무래도 엔진이 너무 차가워 곧 바로 출발하면
약간 무리를 줄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도 약 5분 후 출발하시면 될 겁니다.

두번째 질문은, 어떤면에선 솔직히 개인 취향입니다만, 연비를 올린다는 측면에서
중립에 놓는 것도 좋지요. 또 중립에 있는것이 차의 진동도 적으니까 쾌적한 기다림이
보장되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추가로 질문하신 건 저도 잘 이해가 가지 않는 현상입니다.
- 갑자기 엔진회전수가 올라가면서 차 속도가 높아지는 건 분명히 KICK-DOWN입니다
오토에서 차의 힘을 많이 내기 위해 기어 단수를 한단계 아래로 내려주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올라가서 출력이 많이 나오니까요.
주로 가속하거나, 속도를 갑자기 올리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그런데, 80킬로 부근에서 액셀을 밟아도 차 속도가 올라가지 않는 다는 것은
이해가 안됩니다. 액셀을 밟아도 차의 속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오토미션의 토크
컨버터에서 슬립이 일어나기 때문이니까, 이때 엔진 회전수는 반드시 올라가야 합니다.

즉, 액셀밟기 -> 만일 차속 변화없음-> 엔진회전수 증가
이렇게 되어야죠. 그렇지 않다면,
==> 경사로를 올라가고 있거나
==> 액셀을 더 밟아도 엔진의 출력이 올라 가지 않는 포인트에서 운전중 이거나
이것이 아니라면, 엔진에 이상이 있을거라고 추측은 되는데, 지금은 머라고
말씀드릴수가 없네요.
어떤 조건에서 운전중인지 좀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 경사로 주행 ?
- O/D 램프 ?
- HOLD
- 엔진고장 경고등 ?


이용수 wrote:
>이용수 wrote:
>>안녕하십니까?
>>가끔 들어와서 좋은 정보 퍼가지고 갑니다
>>감사드리고요
>>자동 변속기를 운전하고 있습니다.
>>1. 맨처음 시동을 켜면 1500 rpm정도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시동을 켜자 마자 서서히
>>자동으로 움직이는 만큼의 속도로 진행을 하다가 RPM이 1000정도 부근이 되면
>>엑셀레이터를 밟아서 진행합니다 괜찮은지요?
>>2. 시내 주행을 하다보면 신호대기가 많습니다. 이때
>>기어를 "N"에 놓는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그대로 "D"에 놓고 있는것이
>>좋을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자동차는 정말 마음에 드는데 한가지 이상한것이 있습니다.
>고속도로 주행시 시속 80Km정도로 계속 주행을 하다보면 엑셀레이터를
>더 많이 밟아도 속도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어떤때는 끝까지 밟아도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rpm도 올라가지 않아요 그러다가 어느한계(잘은 모르지만 밟고
>있었던 시간?, 밟았다 띄었다를 여러번 반복하면?)이 지나면 부~우앙하고는
>순식간에 rpm이 4-5000까지 올라갑니다.(시속 80Km 정도면 rpm이 2000정도
>입니다. 그리고는 130-140까지 속도가 올라갑니다.

==> 이건 말씀드린대로 킥다운(KICK DOWN) 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80Km 부근에서 아주 조심을 하고는 하지요
>주변 사람들은 엔진에 이상이 있다고 하고 카센타에 가면 현상을 이해하지
>못해요 그렇다고 직접 주행해보라고 하기도 어렵고...
>


Posted by 카즈앤미
,
이용수 wrote:
>안녕하십니까?
>가끔 들어와서 좋은 정보 퍼가지고 갑니다
>감사드리고요
>자동 변속기를 운전하고 있습니다.
>1. 맨처음 시동을 켜면 1500 rpm정도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시동을 켜자 마자 서서히
>자동으로 움직이는 만큼의 속도로 진행을 하다가 RPM이 1000정도 부근이 되면
>엑셀레이터를 밟아서 진행합니다 괜찮은지요?
>2. 시내 주행을 하다보면 신호대기가 많습니다. 이때
>기어를 "N"에 놓는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그대로 "D"에 놓고 있는것이
>좋을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동차는 정말 마음에 드는데 한가지 이상한것이 있습니다.
고속도로 주행시 시속 80Km정도로 계속 주행을 하다보면 엑셀레이터를
더 많이 밟아도 속도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어떤때는 끝까지 밟아도 속도가
증가하지 않고 rpm도 올라가지 않아요 그러다가 어느한계(잘은 모르지만 밟고
있었던 시간?, 밟았다 띄었다를 여러번 반복하면?)이 지나면 부~우앙하고는
순식간에 rpm이 4-5000까지 올라갑니다.(시속 80Km 정도면 rpm이 2000정도
입니다. 그리고는 130-140까지 속도가 올라갑니다.
그래서 요즘은 80Km 부근에서 아주 조심을 하고는 하지요
주변 사람들은 엔진에 이상이 있다고 하고 카센타에 가면 현상을 이해하지
못해요 그렇다고 직접 주행해보라고 하기도 어렵고...


Posted by 카즈앤미
,
안녕하십니까?
가끔 들어와서 좋은 정보 퍼가지고 갑니다
감사드리고요
자동 변속기를 운전하고 있습니다.
1. 맨처음 시동을 켜면 1500 rpm정도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시동을 켜자 마자 서서히
자동으로 움직이는 만큼의 속도로 진행을 하다가 RPM이 1000정도 부근이 되면
엑셀레이터를 밟아서 진행합니다 괜찮은지요?
2. 시내 주행을 하다보면 신호대기가 많습니다. 이때
기어를 "N"에 놓는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그대로 "D"에 놓고 있는것이
좋을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
웹지기님:

자상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적해 주신대로 한번 해보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십시오.

고마운 마음을 가득담고 우아한 올림.
Posted by 카즈앤미
,
안녕하세요.

오토차에서 서행하다가 시동이 꺼질 땐,
특히 액셀을 놓을 경우 그렇다면 :

- 주행시 공기는 트로틀 보디라는(액셀 케이블이 연결된 곳)곳으로 흐름니다.
그런데, 액셀을 놓으면 엔진으로 흐르는 통로가 막히죠. 이때 공기는
ISC(아이들 스피드 콘트롤러)라는 곳으로 흐르게 됩니다.
- 따라서 액셀을 놓을 때 시동이 꺼진다면,
이 ISC 가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ISC도 트로틀 보디에(또는 근처)
장착 되어있습니다.
- 카센타 가셔서 ISC 청소를 한번 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단골로 가시는 곳이 있다면, 싸게 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1~2만원정도)
==> 제 추측대로 ISC가 문제라면, 여름에 에어콘을 사용할 때, 에어콘이
켜지거나 꺼질때, 차가 부르르 떨리는 현상이 있었을 겁니다.
또는, 요즘 날씨엔, 기어를 N 에서 D 로 움직일 때도 같은 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ISC 내부에 카본이라는 물질이 쌓여서 ISC의 작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이런 현상은 꽤 많은 차에서 발생합니다.
==> ISC에 대해선 본 게시판 아래에 (번호가 10번 미만) 간단히 설명해
놓은게 있으니까 한번 보시는 것도 좋으실듯.

- 또, 드믈긴 하지만 공기량 계측센서(에어플로우 메터)를 장착한 경우
에어플로우 메터엔 역시 트로틀이 닫힌 경우(즉 액셀을 놓았을때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바이패스 통로가 있는데, 이곳이 막혀도 그런 경우가 생기죠
그렇지만 소나타 오토에 이것이 있는지는 저도 알아봐야 하지만, 만약
있다면 이곳도 역시 청소가 필요합니다.
===> 아마 이건 해당사항이 없을 듯. 오래된 차량엔 장착되었으나 요즘엔
거의 없거든요.

- 또 한군데 의심가는 곳도 있지만 그건 거의 발생하지 않으니까 제가 말씀
드린 곳도 점검해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우아한 wrote:
>웹지기님:
>
> 설명절이라 바쁘신 와중에도 꼼꼼히 챙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설을 잘 보냈습니다. 웹지기님도 설 잘 쇠셨죠?
>
> 먼저, 알려달라고 하신 문제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
> 1. 95년식 소나타 오토입니다.
>
> 2. 시동이 꺼지기 시작한 것은 3달쯤 됩니다. 지난 메일에 쓴 것처럼 손보고 난뒤에는 빈도수는 많이 줄어서 요즘은 어쩌다 한번 그럽니다. 손보기 전에는 한 1시간 운전하면 두세번씩 꺼지곤 했었습니다.
>
> 3. 시동이 꺼질만한 사고나 특이한 점은 없었습니다.
>
> 4. 시동이 꺼질때는 주로 시속 10km정도로 서행할때 일어나며, 엑셀을 밟고 있다가 발을 뗄때 잘 꺼지곤 한답니다. (브레이크 사용은 별 관계없답니다.)
>
> 5. 엔진 물세척을 하지 않았습니다.
>
> 6.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시동을 걸면 아무 문제없이 즉시 걸립니다.
>
>이상입니다. 직접 차를 보실수 없으니 아마 이 답변만으로 유추하여 문제를 푸시기에 무리가 많으리라고 생각됩니다. 대강의 고장부분만 지적해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우아한 올림.
>
>
>
>
>

Posted by 카즈앤미
,
웹지기님:

설명절이라 바쁘신 와중에도 꼼꼼히 챙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설을 잘 보냈습니다. 웹지기님도 설 잘 쇠셨죠?

먼저, 알려달라고 하신 문제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95년식 소나타 오토입니다.

2. 시동이 꺼지기 시작한 것은 3달쯤 됩니다. 지난 메일에 쓴 것처럼 손보고 난뒤에는 빈도수는 많이 줄어서 요즘은 어쩌다 한번 그럽니다. 손보기 전에는 한 1시간 운전하면 두세번씩 꺼지곤 했었습니다.

3. 시동이 꺼질만한 사고나 특이한 점은 없었습니다.

4. 시동이 꺼질때는 주로 시속 10km정도로 서행할때 일어나며, 엑셀을 밟고 있다가 발을 뗄때 잘 꺼지곤 한답니다. (브레이크 사용은 별 관계없답니다.)

5. 엔진 물세척을 하지 않았습니다.

6.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시동을 걸면 아무 문제없이 즉시 걸립니다.

이상입니다. 직접 차를 보실수 없으니 아마 이 답변만으로 유추하여 문제를 푸시기에 무리가 많으리라고 생각됩니다. 대강의 고장부분만 지적해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아한 올림.





Posted by 카즈앤미
,
설 잘 쇠셨는지요 ?
아무도 답을 해주지 않으시는 군요.
저두 잘 몰라서 여러군데 알아보았습니다.
(전 LPG차를 아직 구하지 못했거든요^^)

말씀하신 건은 개스가 떨어졌을 때 부탄 가스를 넣어도 된답니다만,
부탄 가스를 넣을 수 있는 전용 어댑터를 장착하셔야만 가능합니다.
어댑터는 LPG 개조하는 곳에서 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격은 모르구요.
그럼 도움이 되시길...

주경중 wrote:
>안녕 하세요. 가끔씩 들어와서 좋은 정보를 얻고 가곤 합니다.
>
>LPG차의 가장 큰 단점인 연료 충전 문제.
> Gas가 떨어졌을때 부탄 Gas를 넣어도 된다고 하던데...
> 진짜인지...
> 진짜라면 어떻게 연로탱크에 주입할 수 있는지..
>
>아시고 계시다면 알려 주세요.

Posted by 카즈앤미
,
우아한님께

먼저 설 잘 쇠시길 바랍니다.

차의 시동이 이유없이 꺼지는 이유는 꽤 다양합니다.
그만큼 수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것이죠.
이런 문제 때문에 조사해서 조치를 해 보면 그이유가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그래서 시동꺼짐 문제를 해결할 때는 차가 시동이 꺼지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아야 합니다. 본인은 사소하게 생각하는 문제도 원인을 잡는데 큰 도움이
되죠.
먼저, 지금 당장 해답을 드릴수 없음을 양해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차의 시동이 알 수 없이 갑자기 꺼지고 있는거 같으니까 바깥 양반께
운전할 때 주의하시라고 말씀 드리세요. 아주 중요합니다.
말씀하셨듯이, 시동이 꺼지면 핸들과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으니까요.

주의하실 점 :
- 코너에서는 반드시 속도를 줄이시고
- 횡단보도, 신호등앞, 교차로에서 특히 주의하시고
- 비보호 좌회전은 가급적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알고 싶은 점:
- 1.차는 수동입니까 아니면 오토인가요 ?
- 2.시동이 꺼지기 시작한 시점은 ?
즉, 전엔 괜찮았는데 뭘 하고 나서 그런가요(최근 또는 몇 개월 ??)
- 3.시동이 꺼질 때 차의 속도는 얼마인가요 ?
- 4.액셀을 밟고 있을 때 꺼지나요 아니면, (가속중 또는 감속중 ??)
- 5.최근에 엔진룸 물 세척 하신 경험은 있으십니까?
- 6.시동꺼진후 다시 시동걸면 금방 걸립니까 ?


우아한 wrote:
>
>웹지기님께:
>
> 주행중에 차의 시동이 자꾸 꺼집니다. 시동이 꺼지기 전에 어떤 전조(차가 푸드덕 거린다든가)가 있는 것도 아니고, 조수석에 앉은 저로서는 남편이 차를 조용히 옆차선으로 빼서 정차시킬때까지 시동이 꺼졌는지도 모를만큼 조용히 꺼집니다.
>
> 95년식 소나타인데요, 저희 부부가 좀 기계치에 가까워서 엔진오일 가는 것만 열심히 해주고, 나머지는 카센터에서 오일갈면서 해주는 점검에 의지해 살았습니다. 그동안 큰 문제는 없었구요.
>
> 그런데, 이번에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집근처 카센터에서는 밋션오일을 갈아야 한다고 해서 갈았는데 계속 시동이 꺼졌구요 (한 10만원 조금 안되게 들었어요. 적정 가격인가요?). 또 다른 카센터에 갔더니 점화플러그를 갈고 엔진 주위를 청소했다고 하는데, 정확하게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는 모양이었습니다. 또, 한 4만원 정도 지출되었죠.
>
> 이렇게 돈을 잡아먹고도, 요즘도 간간히 시동이 꺼집니다. 물론 고치기 전보다는 꺼지는 빈도가 줄어들기는 했는데요, 남편말로는 기름을 가득채우고 주행할때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는 군요.
>
> 주행중 시동이 꺼지면 브레이크도 잘 안 듣고 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좋을지 도움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도대체 어디가 문제일까요?
>
> 고민스러운 우아한 올림.
>
>

Posted by 카즈앤미
,

웹지기님께:

주행중에 차의 시동이 자꾸 꺼집니다. 시동이 꺼지기 전에 어떤 전조(차가 푸드덕 거린다든가)가 있는 것도 아니고, 조수석에 앉은 저로서는 남편이 차를 조용히 옆차선으로 빼서 정차시킬때까지 시동이 꺼졌는지도 모를만큼 조용히 꺼집니다.

95년식 소나타인데요, 저희 부부가 좀 기계치에 가까워서 엔진오일 가는 것만 열심히 해주고, 나머지는 카센터에서 오일갈면서 해주는 점검에 의지해 살았습니다. 그동안 큰 문제는 없었구요.

그런데, 이번에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집근처 카센터에서는 밋션오일을 갈아야 한다고 해서 갈았는데 계속 시동이 꺼졌구요 (한 10만원 조금 안되게 들었어요. 적정 가격인가요?). 또 다른 카센터에 갔더니 점화플러그를 갈고 엔진 주위를 청소했다고 하는데, 정확하게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는 모양이었습니다. 또, 한 4만원 정도 지출되었죠.

이렇게 돈을 잡아먹고도, 요즘도 간간히 시동이 꺼집니다. 물론 고치기 전보다는 꺼지는 빈도가 줄어들기는 했는데요, 남편말로는 기름을 가득채우고 주행할때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는 군요.

주행중 시동이 꺼지면 브레이크도 잘 안 듣고 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좋을지 도움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도대체 어디가 문제일까요?

고민스러운 우아한 올림.


Posted by 카즈앤미
,
정말로 님 정말 감사합니다.

의견 고맙게 받았고, 또 말씀하신 곳도 가보았습니다.

거기서 꽤 유명하신 분 같더군요.

여기도 자주 오셔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음, 그리고 트라제 사진은 급한 김에 인터넷에서 찾아 올려 놓은 건데,

아마 양산 직전에 개발용 차로 사용되던 시작차 (일명 proto car) 인거 같습니다.

머, 핑계긴 하지만, 현재 판매되는 트라제의 수준이 양산용 품질은 되지 않으니까

이 사진도 품질에 적당한 (^^) 거 아닌가 합니다.



정말로 wrote:

>웹지기님 수고많으십니다.

>

>시간있으시면 www.enjoycar.com의 트라제 게시판 하고 www.antihyundai.pe.kr 에도 방문해 보세요.

>자동차2580 기사거리가 많이 있을겁니다.

>

>PS: 트라제 XG의 사진은 실존하지 않는 차의 사진을 올려나서 모양세가 좀 이상하네요.

>

>수고 하십시요.



Posted by 카즈앤미
,
묻고 답하기로 내용을 옮겨 놓았습니다.

Posted by 카즈앤미
,
전 별로 뾰족한 수가 생각나지 않습니다만,
방법이 있다면, 뒷바퀴 쇼버를 교환하심이 어떨지 ?
돈이 좀 많이 드나요 ?
그래도 그게 났지 않을까 ?
제 생각입니다. 이런 생각도 해 보셨겠지만, 혹시 해서 써봅니다

천일필 wrote:
>저는 lpg개조차량을 운행하고있는데요....뒤트렁크에 엘피지통때문인지 차가
> 낫아서 고속방지턱이나 기타등등 ...차가손상이 많이
> 되는데요혹시방법이없는지요...차가손상이가니 스폐어다이어도
> 두고다니거든요.....(차높으라고요)
> 방법이 있으면 꼭멜주세요...
> 두서없는 제글을 보아주어서 감사합니다...
> ........꾸뻑.....

Posted by 카즈앤미
,
저는 lpg개조차량을 운행하고있는데요....뒤트렁크에 엘피지통때문인지 차가
낫아서 고속방지턱이나 기타등등 ...차가손상이 많이
되는데요혹시방법이없는지요...차가손상이가니 스폐어다이어도
두고다니거든요.....(차높으라고요)
방법이 있으면 꼭멜주세요...
두서없는 제글을 보아주어서 감사합니다...
........꾸뻑.....
Posted by 카즈앤미
,
안녕 하세요. 가끔씩 들어와서 좋은 정보를 얻고 가곤 합니다.

LPG차의 가장 큰 단점인 연료 충전 문제.
Gas가 떨어졌을때 부탄 Gas를 넣어도 된다고 하던데...
진짜인지...
진짜라면 어떻게 연로탱크에 주입할 수 있는지..

아시고 계시다면 알려 주세요.
Posted by 카즈앤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