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도 기억상실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 ||||
배터리를 차단했을 때 상실되는 기억정보를 가지고 있는 RAM은 엔진제어장치 외에도 여러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동 위치조절 시트(Auto Adjust Seat), 라디오의 선국 기억 등도 모두 RAM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
'장미와 핸들/자동차 상식'에 해당되는 글 118건
- 2008.03.05 차량도 기억상실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 2008.03.05 차량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때 2
- 2008.03.05 차량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때
- 2008.03.05 엔진에서 사용되는 벨트들
- 2008.03.05 A.B.S.차량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 2008.03.05 A.B.S ( Anti-lock Braking System )
- 2008.03.05 터보차져 ( Turbocharger )
- 2008.03.05 DOHC? 엔진의 밸브수
- 2008.03.05 경유 차량의 심장 - 디젤엔진
- 2008.03.05 타이어 마모와 휠얼라인먼트
- 2008.03.05 겨울철에 시동걸기 어려운 이유
- 2008.03.05 배터리 수명과 성능
- 2008.03.05 배터리의 기본 상식
- 2008.03.05 냉각시스템의 기초
- 2008.03.05 4행정 엔진의 작동과정
- 2008.03.05 5속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
- 2008.03.05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의 작동 원리
차량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때---2 | ||||||||||||||
|
차량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때 |
|
엔진에서 사용되는 벨트들 |
|
A.B.S.차량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 ||||||||||
|
A.B.S ( Anti-lock Braking System ) | ||||||||
Controller는 항상 Speed Sensor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바퀴가 Locking된다는 것은 바퀴의 회전속도가 "0"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바퀴가 Locking되려는 순간에는 급감속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ABS Controller는 그런 급감속은 바퀴가 Locking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라인의 압력을 떨어뜨립니다. 그래서 바퀴에 다시 가속력이 있게 되면, 이제는 바퀴가 감속되도록 브레이크 라인에 압력을 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속도의 변동이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매우 신속하게 일어납니다. 그러면, 바퀴는 Locking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최대의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통상 미끄러운 도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미끄러지지 않으려면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으로 나누어 밟아야 된다고 합니다. ABS는 그런 작동을 순간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
터보차져 ( Turbocharger ) | ||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연소실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터어빈의 날개를 회전시키고, 터어빈의 회전축과 연동된 압축기는 흡입공기를 압축시킵니다. 배기계에 있는 터어빈은 배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다소 배압이 높아지지만, 압축공기의 흡입에 의한 출력증가로 보상됩니다. 압축기는 공기필터(Air Cleaner)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있습니다. 터어빈에 있는 Wastegate는 터어빈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용 밸브입니다. |
DOHC? 엔진의 밸브수 | ||||||
|
경유 차량의 심장 - 디젤엔진 | |||
디젤엔진에서 인젝터는 고온,고압의 환경을 견뎌야 할 뿐만 아니라 연소에 유리하게 충분히 미세한 크기로 연료를 분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엔진의 출력성능이나 유해가스의 배출성능의 상당 부분이 인젝터의 성능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
타이어 마모와 휠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 | ||||||||
가장 중요한 것은 차량이 평탄한 길을 주행할 때 차량이 어느 한 쪽으로 쏠림이 없이 직진주행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때 핸들 위치 또한 적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정비소의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
겨울철에 시동걸기 어려운 이유 | |||
위의 3가지 이유 중에서 (1)과 (2)는 자동차 제작사에서 영하 20도 정도까지는 고려해서 차량을 개발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다지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3)의 배터리는 사용자의 관리에 의해서 성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하는 것입니다. |
배터리 수명과 성능 | ||||||||||||
이런 경우를 피하는 것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입니다.
배터리를 청결한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도 청결해야 하며 연결상태가 양호해야 합니다. 많은 배터리가 청결하지 않거나 불안정한 케이블 연결에서 발생합니다.
|
배터리의 기본 상식 | |||||||||||||
여러분이 운전하시는 자동차가 시동을 걸 때마다 조금은 시원치 않다는 느낌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까? 또는 엔진 공회전 상태에서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약해졌다고 느끼지는 않습니까? 그렇다면 우선적으로 배터리의 교환을 생각해 보십시오.
배터리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아래 표에 전해액의 비중에 따른 충전정도와 전압을 표시합니다.
|
냉각시스템의 기초 | ||||||||||||
자동차의 엔진이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혼합기가 충분히 공급되고, 공급된 혼합기가 연소실 내에서 효과적으로 연소되어야 합니다. 혼합기가 효과적으로 연소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작동조건이 적절해야 하는데 연소실의 온도도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입니다. 연소열에 의해서 상승하는 연소실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일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일을 수행하는 것이 냉각계(Cooling System)입니다.
|
4행정 엔진의 작동과정 | |||||||||||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고 있는 자동차의 엔진은 모두 흡입,압축,팽창,배기의 각 행정을 순서대로 진행하는 4행정(4 Stroke)엔진입니다. 각 실린더에서 이 4행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4기통 엔진,6기통엔진과 같은 다기통 엔진에서는 각 기통별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들 행정들이 계속 반복됩니다. 예를 들어, 4기통 엔진의 경우에 1번 실린더에서 흡입행정이 진행되면 다음에는 3번 실린더에서 흡입행정이 진행되고,다음은 4번 실린더,그리고 그 다음은 2번 실린더에서 흡입행정이 진행됩니다. 따라서 1번 실린더에서 팽창행정이 진행될 때,3번 실린더에서는 압축행정이,4번 실린더에서는 흡입행정이,그리고 2번 실린더에서는 배기행정이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각 행정별로 엔진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각 행정별 특징을 표로 정리해봅니다.
|
5속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 |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수동변속기는 5속변속기입니다. 5속변속기의 간단한 구조를 보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녹색기어를 통하는 엔진출력은 하늘색의 Layshaft를 거쳐서 노란색기어까지 전달됩니다. 변속용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서 선택된 노란색기어가 출력축으로 출력을 전달하게 되면 바퀴까지 출력이 전달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지난 번에 간단하게 살펴본 것과 동일한 내용입니다. 다른 점은 후진을 위한 Reverse Gear가 빨간색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입니다. 노란색기어는 왼쪽부터 차례로 5속,4속,3속,2속,1속,그리고 후진용 기어입니다. 노란색기어의 Teeth 숫자가 많을수록 출력회전수는 작아지고 출력토오크는 커집니다. 물론 이런 변속배치는 하늘색기어와 노란색기어의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맨 오른쪽 Collar가 좌,우로 이동하면 각각 1속과 후진이 됩니다. 동일한 양상으로 중앙 Collar가 좌,우로 이동하면 각각 3속과 2속이 됩니다. 이것을 간단한 모양으로 결합시키면 우리가 수동변속기 차량에서 흔히 보는 H형태의 변속용 손잡이 이동패턴이 되는 것입니다.
|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의 작동 원리 | |
차량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손잡이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킵니다. 변속손잡이는 보통 'H'자 모양의 패턴 위를 이동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모든 변속의 과정에 중립단계를 거치게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수동변속기의 작동 원리를 아래의 간단한 그림을 통하여 설명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녹색기어에는 클러치를 통과한 엔진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있고, 최종적으로 회색기어를 통하여 차축으로 회전력이 전달됩니다.변속기의 입력에 해당하는 녹색기어와 변속기의 출력에 해당하는 회색기어는 Layshaft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림에서 노란색기어와 회전축이 Layshaft입니다.
녹색기어와 노란색기어는 각각 기어축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회색기어와 회전축 사이에는 베어링이 있어서 기어와 회전축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회색기어가 있는 회전축은 스플라인축으로, 이 축을 따라 분홍색으로 표현된 collar가 이동할 수 있습니다. collar가 회색기어의 어느 것과도 결합되지 않은 상태가 Neutral상태입니다. 엔진의 회전력이 차축으로 전달되지 않고 단순히 각각의 기어들이 회전만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